한국은행은 2014년 12월 11일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11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동결이었다. 한국은행은 8월과 10월 0.25%포인트씩 금리를 내려 2%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8~2009년과 같은 수치로, 역대 최저다. 국내외 경기 상황은 좋지 않지만 ‘1%대 기준금리 실험’을 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판단이다.
2015년에는 어떨까? 실질금리는 사실상 마이너스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한은이 기준금리를 적어도 한 차례 더 내릴 가능성이 있다. 국내외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예금금리는 1%대가 대세로 자리잡을 관측이다. 경제 성장률은 2015년에도 별로 나아질 게 없어 보인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은 2015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9%로 제시하고 있다. 2014년보다 0.4%포인트 정도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하지만 이는 국내외 경제 예측 기관들의 전망을 통틀어 상당히 높은 것이다. 한은은 성장률 전망치를 계속 낮춰 가면서 기준금리 인하의 명분을 쌓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015년 하반기쯤 정책금리를 약간 올릴 전망이다. 그러나 한국은행이 여기에 곧바로 반응해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힘들어 보인다. 미국과 달리 유럽과 일본은 제로금리를 지속할 것이고, 중국도 금융완화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돼 급할 게 없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저금리를 촉발한 동시다발적 글로벌 경기 침체는 구조적인 문제라 쉽게 풀기 어렵다”며 “세계적 저금리 기조는 2015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1%대 초저금리 환경을 이끌 가장 중요한 변수는 바로 물가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3~2014년 2년 연속 1%대에 머물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2015년에도 2% 선을 넘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모건스탠리·노무라증권·BNP파리바 등은 2015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3~1.9% 수준으로 봤다. 이는 한은의 2013~2015년 물가안정목표치(2.5~3.5%)보다 훨씬 낮다.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경고했듯이, 한국도 이제 디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하는 나라다. 최근 원유값 등 국제 원자재 가격도 뚝뚝 떨어지고 있어 디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다. 김정식 한국경제학회장(연세대 교수)은 “원자재값이 수퍼사이클 상 안정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환율이 현재와 같은 수준이라면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내년에도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