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발표한 ‘세계 금융 이해력(literacy)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금융 이해력은 세계 143개국 중 77위였다. 우간다(76위)보다 낮은 수준이다. 그러다 보니 자산관리도 ‘모 아니면 도’식으로 쏠린다. 일확천금을 노려 주식·파생상품 같은 위험 자산에 몽땅 털어 넣든가 물가상승률도 따라가지 못하는 예·적금만 고집한다. 자산관리의 지식도, 경험도 태부족한 ‘금융문맹’인 한국의 반퇴세대는 저금리·저성장에 급격한 고령화라는 ‘삼각 파고’ 앞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PB(프라이빗뱅커) 출신의 은행 지점장 A씨는 회사에서 임금피크제를 택할지, 명예퇴직을 할지 선택하라고 하자 고민에 빠졌다. 자산가들의 은퇴 준비를 설계하고 도왔던 그였지만 막상 자신이 선택의 기로에 서자 갑자기 혼란에 빠지며 결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집은 어떻게 처분할지, 퇴직연금 등의 소득은 어떻게 분배할지, 중장기 목돈 수요는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자신한 그였다. 하지만 대부분 ‘반퇴세대’가 겪는 이른바 ‘은퇴 공포증’을 그 역시 피해갈 수 없었던 것이다.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은퇴를 앞뒀다는 공포가 지나치게 커지면 각종 부작용이 생기게 마련이다. 종종 ‘조급증’으로 악화돼 섣부른 결정과 실수를 하거나, 반대로 ‘피로증’으로 변질돼 아예 ‘될 대로 되라’ 식이 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을 맞닥뜨리지 않기 위해 반퇴세대가 미리 챙겨야 할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 범하기 쉬운 실수와 이에 대한 조언을 중앙일보 ‘반퇴 테크’ 자문단인 김동엽 미래에셋 은퇴연구소 이사, 김진영 신한은행 신탁연금본부장, 문진혁 우리은행 고객자문센터 세무팀장, 박기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이윤학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소장에게 들었다(가다나순).
① 수명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 반퇴 준비의 핵심 전제이자 변수는 수명이다. 박기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은 “막연히 80~90까지 살 것이라 생각했다 예상보다 수명이 늘어나면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평균 수명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간과하기 쉬운 게 의료비다. 김동엽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이사는 “세상을 뜨기 전 1년 간 쓰는 의료 비용이 평상시 의료비의 3배 정도 든다”며 “배우자의 병치레도 잦아질 수 있는 만큼 이를 충분히 감안해야 하고 보험의 보장 시기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② 배우자와 함께 하라 = 반퇴세대 가장은 자산관리는 배우자에 맡겨두고 퇴직이 눈앞에 다가와서야 통장을 챙겨보는 경우가 많다. 금융자산이 얼마나 있는지, 빚은 얼마나 남았는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 배우자 모르게 투자했다가 난 손실을 메우기 위해 위험이 더 큰 상품에 투자했다 손실을 키우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김진영 신한은행 신탁연금본부장은 “부부의 은퇴 준비는 항상 2인분”이라며 “미리 아내와 마주 앉아 그동안 투자해 놓은 자산을 펼쳐놓고 옥석을 가려내고, 혹 놀고 있는 자산은 없는지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