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이 길어지면서 환갑에도 마음은 청춘이고 신체활동은 왕성하다. 퇴직해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대가 왔다. 그러나 이런 반퇴(半退)시대는 ‘양날의 검’ 또는 ‘두 얼굴의 축복’일 수 있다. 많이 벌어놓고 건강하면 축복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재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퇴 후 30년 넘게 남은 노후를 즐겁고 편하게 보내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재무적 준비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대책까지 두루 살펴본다.
예전에는 환갑에 큰 잔치를 치렀다. 하지만 이제는 인생 후반전의 출발점에 불과하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환갑에도 마음은 청춘이고 신체활동은 왕성하다. 그래서 퇴직해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대가 왔다. 은퇴 후에도 여건만 되면 언제든지 구직에 나서고 일을 한다는 뜻에서 ‘반퇴(半退)시대’가 왔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반퇴시대는 ‘양날의 검’ 또는 ‘두 얼굴의 축복’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이 벌어놓고 건강하면 축복이지만 벌어놓은 게 없고 건강하지 않으면 재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30~40대도 노인 빈곤 상황 대비해야
반퇴시대는 퇴직을 앞둔 1차 베이비부머(1955~63년 출생자 710만 명)만의 얘기가 아니다. 취업이 늦고 저성장·저금리가 일상화되면서 2·3차 베이비부머(30~40대) 역시 이런 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다.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 노인 빈곤에 빠질 수밖에 없다. 65세 이상 인구의 노인 빈곤율은 49%에 이른다. 젊어서 모아둔 게 없어 퇴직 후 바로 노인빈곤으로 이어진 결과다. 이런 상황에서 반퇴세대는 앞 세대와 전혀 다른 사회·경제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반퇴세대는 우선 앞 세대에 비해 노후가 20~30년 길어졌다. 기대수명이 1970년 61.9세에서 2014년 82.4세로 반세기도 안 된 사이에 20년 넘게 늘어나면서다. 사고 없고 건강하면 100세 생존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