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할 때 생각을 집중하는 주제를 ‘화두’라고 한다. ‘이뭣고?’가 대표적인 화두다. 앉으나 서나 자나 깨나, 밥을 먹을 때도 잠을 잘 때도 오직 ‘이뭣고’라는 화두에 집중한다. 집중을 거듭하다 보면 어느 날 홀연히 깨달음을 얻는다고 한다.이 방식을 코칭에 적용했다. 상대방이 물었다. “어떻게 하면 최고의 리더가 될 수 있을까요?” 최고의 리더가 어떤 의미인지, 최고의 리더가 되면 어떤 좋은 점이 있는지에 대해 한참 동안 대화를 나누고 난 후에 제안했다. “2주일 후에 만날 때까지 ‘어떻게 하면 최고의 리더가 될 수 있을까?’라는 주제를 한시도 잊지 말고 집중해 보면 어떨까요?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어떻게 하면 최고의 리더가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시작해서, 출근할 때도, 회의할 때도, 점심 먹을 때도, 저녁에도, 다른 모임에 갔을 때도 한시도 잊지 않고 이 주제에 몰입하는 겁니다.”
원하는 주제에 시종일관 몰입상대방은 제안을 받아들였다. 2주일 후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이 분은 질문에 몰입했다. 시도 때도 없이 자신에게 물었다. 회의할 때도 ‘최고의 리더는 이럴 때 어떻게 할까?’하고 자신에게 물었고, 복도에서 직원들을 마주칠 때도 자신에게 물었다. 짜증나는 피드백을 해야 할 때도 자신에게 물었고, 어려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도 질문에 몰입했다. 그러던 중 자신이 이미 최고의 리더처럼 행동하고 있는 걸 발견했다. 짜증이 없어졌으며, 화를 내는 것도 없어졌다. 오직 질문만 했을 뿐인데, 자신이 이미 그렇게 행동하고 있는 걸 보면서 짜릿한 쾌감을 느꼈다고 했다.또 물었다. “당신은 최고의 아버지입니까?” 그분은 즉시 대답했다. “아닙니다.” 최고의 아버지가 무슨 뜻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렇게 되면 어떤 점이 좋은지 등 우리는 한참 동안 ‘최고의 아버지’에 대해 대화를 나누었다. 그리고 요청했다. 다음에 만날 때까지 ‘어떻게 하면 최고의 아버지가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몰입하자. 효과는 놀라웠다. 아이들에게 잔소리하지 않는 아버지, 믿고 기다려주는 아버지, 존중하는 아버지 등 자신이 되고 싶은 아버지의 모습으로 자신이 변해가고 있는 걸 확인했다고 했다. 마치 자동항법장치에 의해서 비행기가 날아가는 것처럼, 자신도 질문이라는 자동항법장치에 의해 그렇게 살아가고 있는 걸 느꼈다고 했다.모 교육청의 요청으로 ‘교사의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한 적이 있다. 교사들은 가르치는 데 전문가들이다. 이들에게 어떤 내용으로 강의를 해야 할지 고민이 됐다. 질문을 몇 개 만들었다. ①여태까지 만났던 교사들 중에서 닮고 싶은 분은 누구입니까? 그분의 어떤 점을 닮고 싶습니까? ②여태까지 만났던 교사들 중에서 최악의 사람은 어떤 분이었습니까? 그분의 어떤 점이 나빴나요? ③정년퇴임 할 때 학생, 후배 교사, 학부모들에게 어떤 선생님으로 기억되고 싶은가요? ④교사로서 자랑스러운 것은 무엇인가요? 꼭 실천해보고 싶은 것은 무엇입니까? 그 외에도 많은 질문을 했다. 질문에 대해 선생님들이 서로 토론하고 정리하는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선생님은 이래야 됩니다, 저래야 됩니다’ 하는 등의 말은 일절 하지 않았다. 오직 질문만 했다. 강의를 마칠 때 선생님들이 말했다. “오늘 좋은 것 많이 배웠습니다. 스스로를 돌아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나는 아무 것도 가르친 게 없었다. 다만 질문만 했을 뿐이다.
생각하는 대로 이뤄진다코치는 질문으로 먹고 사는 사람이다. 질문을 통해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찾게 해 준다. 코칭은 질문으로 시작된다. “어떤 내용으로 코칭 받고 싶은가요?” 상대방의 대답을 깊이 있게 듣고, 그 속에서 또 질문을 찾아낸다. “지금 말씀하신 내용이 잘 해결되면 무엇이 좋은가요? 그게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질문하고 듣는 과정을 통해 원하는 것을 알아차리고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코칭이다. 코치가 뭔가를 가르치는 게 아니다. 질문과 경청을 통해 스스로 깨닫게 해준다. 그런데 코칭을 마칠 때 사람들은 잘 배웠다고 말한다. 이처럼 ‘가르치지 않으면서 깨닫게 하는 것’이 코칭이다.사람들이 묻는다. ‘어떻게 하면 질문을 잘 할 수 있을까요?’ 물론 질문에도 기술이 있다. 많이 훈련해야 한다. 그러나 코칭을 직업으로 하는 전문가가 아니라면 질문 방법은 간단하다. 자신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것이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게 뭐지?’하고 스스로에게 묻는 것이다. 그리고 상대방에게 명령하고 싶은 게 있으면, 그걸 질문으로 바꾸면 된다.A그룹의 L상무가 말했다. “제가 질문의 기술에 관련된 책을 읽다가 깨달은 게 있습니다. 간단합니다. ‘어떤 질문을 할까’를 깊이 고민하는 게 바로 질문의 기술입니다. 고민의 깊이가 질문의 깊이입니다.” 놀랍다. 촌철이다. 그렇다. ‘이럴 때 어떤 질문을 하지?’하고 고민하는 게 바로 질문의 핵심이다. 그렇게 되면 내면의 모든 것이 질문에 집중한다. 질문에 반응한다. 질문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자동항법장치가 되어준다.역량은 뛰어난데 열정이 부족한 직원에게 이래라 저래라 지시하고 명령하는 것보다 ‘어떻게 하면 자발적으로 스스로 잘하게 할 수 있을까?’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고민하는 게 더 효과적이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하고 스스로에게 물어보는 것, 그게 바로 질문의 기술이다. 질문을 잘하고 싶은가? 시도 때도 없이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질문하면 좋을까?’ ‘저 친구에게는 어떤 질문을 하면 동기부여될 수 있을까?’ 이런 식으로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게 질문의 핵심이다.석가모니가 말했다. “사람의 마음은 그가 자주 생각하는 것을 향해 움직인다. 즉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된다.” 이게 바로 자신이 몰입하는 질문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이유다.
김종명 - 리더십코칭연구소 대표, 코칭경영원 파트너코치다. 기업과 공공기관, 대학 등에서 리더십과 코칭, 소통 등에 대해 강의와 코칭을 하고 있다. 보성어패럴 CEO, 한국리더십센터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리더 절대로 바쁘지 마라] [절대 설득하지 마라] [코칭방정식]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