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자본시장의 리더 | 친페이징 중신증권 수석애널리스트] 中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주목하라 

경기 둔화 방어책으로 내세워... 교통·수자력·에너지 업종 유망 

강병철 기자 bonger@joongang.co.kr

▎친페이징 중신증권 수석애널리스트. / 사진:중앙포토
삼성증권이 최근 주최한 ‘그레이트 차이나(Great China)’ 투자 컨퍼런스에서 중국 최대 증권사인 중신(中信·CITIC)증권 리서치센터의 친페이징(秦培景) 수석애널리스트는 “선전-홍콩 거래소 간 교차거래인 선강퉁(深港通)이 시작되면 외국인이 선강퉁과 후강퉁(상하이-홍콩거래소 간 교차거래)을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종목이 최대 1500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후강퉁을 통해 500여 종목이 거래되고 있는데 선강퉁이 열리면 외국인이 추가로 최대 1000개 종목을 사고 팔 수 있다는 얘기다. 친페이징은 중국 내국인 전용 주식시장인 ‘A주’ 전문가다. 그는 귀국 후 ‘중국 시장 전망 및 투자전략’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발표(PT) 자료를 본지에 보내줬다.

중국 시장 현황과 전망은.

“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 데 따른 수익, 즉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이 핵심 변수다. 중국의 3대 리스크로 실업·신용·환율을 꼽는다. 그런데 3분기에는 신용 리스크가 핵심 리스크였다면 4분기에는 환율을 주목해야 한다. 실업은 경기 반등으로 리스크가 줄어들 수 있으나 구조적 문제가 남아 있다. 신용 리스크를 풀기 위한 조정 작업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은 금리 인상과 G20 협력 이슈로 4분기 때까지 가봐야 한다.”

신용 리스크는 어느 정도 상황인가.

“채굴(석탄)·철강·비철금속 등 과잉 설비산업에서 신용 스프레드(Credit Spread)가 상승하고 있다. 해당 업종에서 자금을 빌리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120억 위안이던 신용 부도액이 올 4월 이미 넘어섰다. 채권 발행을 취소하는 규모도 커지고 있다. 민영기업에서 중앙국영기업에 이어 지방국영기업까지 신용 리스크가 전이되고 있다. 이자 상환 불가 상태에서 원금까지 못 갚는 상황도 늘고 있다.”

이런 신용 경색이 중국 증시에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는가.

“신용 리스크의 확대로 기업의 융자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짐에 따라 부채비율이 높은 업종에 대한 투자에 큰 부담을 느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위험 자산에 대한 선호가 떨어지는데 신용 스프레드와 리스크 프리미엄이 동시에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유동성 역시 고려해야 한다. 채무 불이행이 이어질 경우 단기 자금시장에 큰 충격을 줄 것이다. 여기에 통화 정책까지 실패할 경우 단기 금리가 상승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환율과 기업 수익성은 어떻게 전망하는가.

“일단 연말까지 환율에 대한 압박이 없을 것으로 보여 1달러당 6.7위안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 수익성은 분기별로 봤을 때 반등하고 있다. 덕분에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증가율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금융업을 제외한 기업에선 매출액은 늘어나지만 이익은 소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럼 어느 산업에 대해 투자해야 하는가.

“건축·건축자재·부동산·환경보호·식음료·자동차·가전·의류·석유화학 업종이 괜찮다. 특히 경기 둔화 국면에서 중국 정부 정책의 핵심은 인프라 투자다. 인프라 투자 확대를 경제 안정의 관건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통화 정책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흐를 것으로 보인다.”

인프라 투자 관련 업종과 기업을 꼽아달라.

“전통적인 인프라 사업으로 교통·수자력·에너지 업종이 꼽힌다. 안휘해라시멘트·위성신소재·소교과 같은 회사가 유망주다. 최근에는 철도와 오수처리 분야에서 민관협력(PPP) 인프라 프로젝트가 대거 진행되고 있다. 강니기전·정한기술·벽수원이 대표 기업이다. 이 밖에 중국건축·중국교통건설·중국전력건설·중국야금공업·중국철도건설·중국중철·갈주패·상해터널공정·상해건공에서 인프라 건설 관련 신규 수주가 늘고 있다.”

과잉생산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는가.

“과잉설비 산업 중 우량 기업만 생존할 것이다. 살아남는 기업이 강한 기업이란 얘기다. 우량기업의 시장지배력과 가격결정권은 커질 것이다. 중국신화에너지·산서서산석탄전력·보신철강·하문텅스텐을 눈여겨볼 만하다. 중국신달자산운용·중국화융 등 부실자산 관리회사도 주목해야 한다. 부실자산이 늘어남에 따라 부실자산을 관리하는 산업의 성장도 기대할 만하다.”

중신증권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짜는가.

“포트폴리오 종목 선정 기준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애널리스트의 분석이 이뤄진 종목으로 매출 전망치가 존재해야 한다. 둘째,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애널리스트들이 샘플로 잡은 종목 중 상위 20%에 들어야 한다. 셋째, 순이익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전체 A주 중 상위 20%여야 한다. 넷째, 영업 이익률 전망치 역시 전체 A주 중 상위 30%에 속해야 한다.”

그럼 실적이 받쳐주는 성장주가 투자 대상이란 얘기인가.

“맞다. 그래서 ‘실적성장주 중신 포트폴리오’로 부른다. 단순히 저평가된 블루칩을 이용한 방어전략은 추천하지 않는다. 수익·실적 등 성장의 확실성이 있어야 한다. 분기 재무제표에 근거해 네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업을 선정한다. 그래야만 고수익을 얻을 수 있고, 손실이 줄어든다. 분석 결과 천제리튬(비철금속)·삼루(기계)·미성문화(방직·의류)·취룡(PC)·카이어신소재(건축자재)·한정우우(건축)·화자실업(농림어업) 등이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또 다른 투자 포인트를 알려달라.

“중국에선 제4차 베이비붐 시대가 열렸다. 1950년대 생인 조부모 세대와 1975년 이후 출생한 부모 세대가 같이 2000년대 생자녀 세대를 위해 양육비를 쓰는 구조다. 이에 따라 교육과 소매 분야에서 가계 소비가 크게 늘고 있다.”

4차 베이비붐 관련 업종은 무엇인가.

“4차 베이비붐 경제를 4대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영유아 상품 소비 시장이 연간 3500억 위안으로 커졌다. 분유·기저귀·아동복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둘째, 완구와 게임·만화 등 레저·엔터테인먼트 분야는 2200억 위안 규모에 달한다. 셋째, 아동용 의약품·헬스케어 등 의료 시장도 1200억 위안 수준이다. 넷째, 영유아 교육→취학 전 교육→학원·과외로 이어지는 교육시장은 7700억 위안으로 가장 크다.”

4대 분야 중 어디가 가장 성장하고 있는가.

“순이익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봤을 때 교육 분야는 22%씩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학원 분야는 24%가 넘는다. 레저·엔터 분야도 CAGR가 17%에 달한다. 이 중 게임·만화 업종은 21%로 고속성장 중이다.”

양적 성장과 질적 개선 중 어디를 눈여겨봐야 하는가.

“두 가지를 나눠서 볼 필요가 있다. 영유아 분유와 아동복 시장은 양적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에 나서는 게 맞다. 그런데 고급 기저귀, 완구, 조기 교육, 영양 식품 업종이 커지는 것은 새로운 수요의 출현으로 봐야 할 것이다. 특히 중국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잘 봐야 한다. 예전에는 기본적인 소비에만 머물렀으나 레저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게임과 교육 분야에서 수요가 늘고 있다. 소비 방식 역시 체험 뒤 구매하는 트렌드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 가족형 체험 시장이 커지고 있다. 특히 소비를 좌우하는 주체가 부모로부터 자녀로 이동하면서 애니메이션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1353호 (2016.10.0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