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출범 14년 맞은 대한민국 경제자유구역(KFEZ)] 동북아 비즈니스 허브로 ‘우뚝’ 

 

남승률 기자 nam.seungryul@joongang.co.kr
인천, 광양만권 등 8곳에 입주기업 4763개 … 외국인 투자 16조원 유치

▎전남 여수·순천·광양시와 경남 하동군 일대의 약 77km²에 자리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에는 2020년까지 25조원이 투입돼 500여 기업이 들어설 예정이다. / 사진:중앙포토
올해로 출범 14년. 2003년 인천을 시작으로 부산·진해, 광양만권, 황해, 대구·경북, 새만금·군산, 충북, 동해안권 등 대한민국 경제자유구역(Korean Free Economic Zones : KFEZ) 8곳이 속속 선보였다. KFEZ의 목적은 외국인 투자 기업의 경영환경과 외국인의 생활 여건을 개선해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지역간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다. 세계의 자본과 정보가 모이는 국제 비즈니스의 중심지이자 종착역이다. KFEZ의 총사업비는 118조5904억원. 지난해 말까지 53조2490억원이 투입됐다. 13년간 외국인투자유치(FDI) 실적은 신고액 기준 139억5000만 달러(약 16조 1122억원), 입주기업은 4763개에 이른다.

잇단 상전벽해에 세계 비즈니스맨들도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타임·CNN 등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CNN은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일컬으며 ‘미래 도시의 해답’이라고 극찬했다. 국내외 경기 침체에도 KFEZ가 기록한 지난해 FDI 규모는 24억 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였던 2012년 실적(25억5000만 달러) 수준을 회복했다. 2015년(14억6000만 달러)보다 70%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부산이 사상 최대 실적(4억6000만 달러)을 기록했고, 대구·경북 역시 400억원이 넘는 투자액을 이끌어냈다. 투자 실적이 지역별로 각각 증가하면서 인천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FDI 편중도 역시 일정 부분 해소됐다. 그동안은 FDI는 인천에 집중돼 있었다. 하지만 그 비중이 2015년 82.8%를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64.8%로 줄었다. 지난해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유치한 FDI는 전년 대비 약 3억6000만 달러 늘어난 15억6000만 달러다. 인천의 실적이 늘었는데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 건 다른 경제자유구역의 성적이 그만큼 좋았기 때문이다. 지역 편차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 적중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 KFEZ는 불과 얼마 전까지도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갯벌이나 황무지, 혹은 낙후된 제조업 공장터에 불과한 땅이었다. 인천 송도와 동해안 망상은 해수욕장, 광양만은 작은 어촌, 충북 오송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 중 하나였다. 심지어 간척사업으로 조성된 새만금의 경우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땅이었다. 2002년 외국인투자 촉진과 국가 경쟁력 강화, 지역발전을 목적으로 한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이들 지역의 눈부신 변화가 시작됐다. 외국인 투자 유치는 물론, 지역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면서 이들 지역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의 바람이 불어왔다.

예컨대 논밭뿐이던 충북 청주시 오송읍은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계기로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거듭났다. 오송 생명과학단지는 2012년 조성 이후 LG생명과학·대웅제약·CJ헬스케어 등이 입주를 마쳤다. 현재 60개 기업이 입주 계약을 했고, 이 중 51개 기업은 연구소를 동반해 연구에서부터 생산까지 한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발전상은 사업체와 종사자의 숫자로 나타난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5인 이상 사업체는 1480개, 종사자 수는 3만8160명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사업체는 145개, 종사자 수는 1851명이 늘었다.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은 영·호남 상생 협력의 모델이다. 전남 여수·순천·광양시와 경남 하동군 일대의 약 77km²에 2020년까지 25조원이 투입돼 500여 기업이 들어설 예정이다. 첨단부품, 신소재 등의 특화 업체를 집중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1379호 (2017.04.1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