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주력 제조업 노동생산성 둔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제조업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했으며, 기술 수준이 높은 선도기업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 성장을 이끌어온 업종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하면 한국 경제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는 만큼 규제 완화와 구조개혁을 통해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3월호에 실린 ‘산업별 노동생산성 변동 요인 분석’ 보고서를 보면 연평균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11∼2015년 2.2%로, 금융위기 이전인 2001∼2007년(7.9%)보다 5.7%포인트 하락했다. 반도체와 휴대폰이 포함된 고위 기술의 연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같은 기간 14.5%에서 6.8%로 7.7%포인트 떨어졌다. 세부적으로 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이 -8.1%포인트(13.0%→4.9%), 휴대폰 등 통신·방송 장비가 -7.9%포인트(22.1%→14.2%)로 하락폭이 컸다. 자동차·선박·기계 등 중고위 기술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이 기간 6.5%에서 0.0%로 둔화했다. 특히 조선·해운업 업황 부진에 중고위 기술 중 기타 운송장비(선박) 업종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5.4%에서 -4.2%가 되는 등 금융위기 후 노동생산성이 감소했다.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 원인으로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둔화가 꼽혔다. 총요소생산성이란 노동과 자본의 투입량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가가치의 증가분으로, 생산 과정에서 혁신과 관련 깊다. 혁신기업 출현이 지체되고, 노동과 자본이 비효율적으로 배분되면 총요소생산성 증가세가 둔화한다. 기업 수준별로 보면 총요소생산성이 상위 5%에 해당하는 선도기업도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1480호 (2019.04.2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