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 기업 55.5% “1인당 평균 88만원 설 상여급 지급”기업 절반 이상이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687개사를 대상으로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 기업 55.5%가 설 상여금을 ‘지급한다’고 답했다고 1월 7일 밝혔다. 전년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상여금 지급 계획은 기업 규모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기업은 91.4%가 상여금을 지급한다고 밝혔지만, 중소기업(54.2%)과 중견기업(50%)은 절반에 그쳤다.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이유로는 ‘직원들의 사기와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54.3%, 복수응답)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39.1%), ‘설 지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9.4%), ‘지난해 실적이 좋아서’(6%) 등이 이유로 꼽혔다. 지급 계획이 있는 기업들의 1인당 평균 상여금은 88만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은 13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중견기업(118만원), 중소기업(78만원)의 순으로 적었다. 상여금을 주지 않는 기업(306개사)은 그 이유로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37.9%, 복수응답)라는 답을 많이 꼽았다. 이어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32.7%), ’재무상태 악화 등 지급 여력이 부족해서’(25.2%), ’불경기 등 내외부 환경이 어려워져서‘(15.7%), ’지난해 목표만큼 성과를 달성하지 못해서‘(14.7%) 등의 답변을 내놨다. 아울러 응답 기업의 73.7%는 직원들에게 설 선물을 준다고 밝혔다. 선물의 1인당 평균 예산은 6만원으로 집계됐다.
국세청 | 임대수익 2000만원 안넘어도 소득세 내야올해부터 2주택 이상 소유자는 주택임대소득이 2000만원을 넘지 않더라도 소득세를 내야 한다. 지난해까지는 임대수입이 2000만원을 초과한 다주택자만 세금을 냈지만, 올해부터는 과세 대상이 확대됐다. 1월 7일 국세청은 그동안 비과세 대상이었던 수입금액 2000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에 대해서도 2019년 귀속부터 소득세 과세가 전면 시행된다고 밝혔다. 주택 임대수입 과세 대상자는 2월 10일까지 수입금액·소재지·계약조건 등 임대사업 현황을 관할 세무서에 신고해야 한다. 과세 대상 소득은 지난해 주택을 임대해 벌어들인 돈이다. 부부 합산으로 집이 한 채인 사람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고 2주택자는 월세에 한해, 3주택 이상인 사람은 월세와 전세 모두 수입이 있다면 소득세를 내야 한다. 기준 시가가 9억원을 넘는 주택·해외 소재 주택에서 나오는 임대 소득은 1주택자에게도 과세한다. 다만 전용면적 40㎡ 이하이고 시가가 2억원 이하인 소형주택은 과세 대상 주택에서 빠진다. 과세 대상자는 세무서와 지방자치단체에 모두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임대수입의 60%를 경비로 처리해 과세 대상 소득에서 빠지고 기본 공제액 400만원을 적용한다. 가령 주택 임대수입이 20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이 금액의 60%인 1200만원을 빼고 기본 공제액 400만원을 뺀 나머지 400만원에 대해서만 소득세가 붙는 것이다. 반면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은 사람은 필요 경비율은 50%, 기본공제액은 200만원만 적용받는다. 올해부터는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은 과세 대상자들은 수입금액의 0.2%를 가산세로 더 내야 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반도체 시장, 2분기부터 회복 전망”부진의 늪에 빠졌던 반도체 시장이 2분기부터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0년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중 가격 조정이 마무리되면서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실적이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25.9% 감소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D램과 낸드플래시의 단가가 하락한 게 주원인이다. 이에 대해 이주완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수량 기준으로는 수출 감소율이 미미하거나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며 “반도체 수출과 기업 실적이 급등락한 것은 수요 변동이 아니라 공급 조절 실패로 인한 가격 효과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올해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효과가 소멸하면서 수출과 기업 실적이 플러스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들어 메모리 가격은 하락세가 완만해지거나 일부제품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보고서는 “올해 1분기까지는 기저효과로 인해 수출·기업 실적은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하겠으나 2분기부터 회복을 시작해 연간 실적은 플러스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과잉 설비 투자경쟁 심화로 공급 과잉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지난해 한국과 중국은 전년 대비 설비투자를 각각 37%, 10.8% 줄였지만, 대만과 북미는 오히려 각각 21.5%, 8.5% 늘렸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2017~2018년 신증설 물량조차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올해는 한국도 설비 투자 경쟁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어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 | 국내 ETF 순자산 52조원 ‘역대 최고’지난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 총액이 52조원을 기록했다.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19 ETF시장 동향 및 주요 특징 분석’ 자료에 따르면 국내 ETF 순자산 총액은 작년 말 기준 51조7122억원으로 1년 전(41조원)보다 26.1% 증가했다. ETF 시장이 개설된 2002년 말 3444억원의 150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종목수도 지난해 국내형 35개, 해외형 13개 종목이 신규 상장하면서 국내형 335개, 해외형 115개 등 총 450개로 확대됐다. 전체 ETF 평균 수익률은 6.54%로 집계됐다. 국내 주식형 ETF 평균 수익률은 7.83%로 코스피 수익률(7.67%)을 0.16%포인트 상회했다. 종목별 수익률은 ‘타이거(TIGER) 차이나 CSI300 레버리지’가 79.8%로 가장 높았다. 이어 ‘킨덱스(KINDEX) 중국본토CSI300 레버리지’와 ‘타이거(TIGER) 미국S&P500레버리지’가 각각 75.7%, 63.9%의 수익률로 뒤를 이었다. 수익률 상위 5종목 모두 해외 시장 대표인 상하이선전(CSI) 300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S&P)지수를 추종한 상품이었다. 반면 ‘코덱스(KODEX) WTI 원유선물 인버스(H)’는 -32.7%로 수익성이 가장 나빴다. 지난해 가장 돈이 많이 몰린 종목은 ‘코덱스(KODEX) 200’으로 1조2920억원이 들어왔다. 코덱스 200의 순자산총액은 9조3000억원으로 전체 ETF 시장의 18%를 차지했다. ‘타이거(TIGER) 200’에도 1조1030억원이 몰렸다. 이들 종목은 모두 코스피 200을 기초지수로 한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투자자들의 해외 직접투자 수요를 국내로 흡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글로벌 상품의 공급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고나라 | 인기은행 달력 1위는 우리은행시중은행 달력 가운데 우리은행 달력이 중고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중고거래 사이트 ‘중고나라’가 지난해 12월 국내 5대 은행(신한·KB국민·KEB하나·우리·NH농협)에서 제작한 ‘은행 달력’ 중고거래 순위를 집계한 결과, 우리은행이 264건으로 가장 많았다. KB국민은행은 192건으로 2위를 차지했고, NH농협은행(164건), 신한은행(117건), KEB하나은행(103건) 등이 뒤를 이었다.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일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종이 달력 수요는 많이 줄었지만 은행 달력은 예외다. 은행 달력은 ‘집에 걸어두면 돈이 들어온다’는 속설이 있어서다. 때문에 연말이 되면 전국 각 지점에서는 고객들이 달력을 받기 위해 경쟁을 벌일 정도로 인기가 높다. 현재 중고나라에서 거래되는 은행 달력 시세는 은행 브랜드에 따른 차이는 없다. 다만 ‘VIP 고객 벽걸이용’은 1만원, ‘일반 고객 벽걸이용’ 5000원 등 고객 등급별로 가격 차이가 났다. 이는 종이 품질과 유명 화가 작품이 실리는 등 완성도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중고나라 관계자는 “은행 달력처럼 시중에서 구할 수 없는 한정판 상품 등을 구입하기 위해 중고나라를 찾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며 “중고나라 회원 한 명, 한 명이 1인 가게가 되는 특성상 진귀한 제품이 많이 올라온다”고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 게임, 세계시장 점유율 4위한국 게임산업이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19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8년 국내 게임산업 매출액은 14조2902억원으로 전년보다 8.7% 증가했다. 수출액도 64억1149만 달러(약 7조546억원)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모바일게임 매출액이 7.2% 늘어난 6조6558억원으로 전체 게임산업 매출액 46.6%를 차지했다. 모바일게임은 2017년 PC게임을 앞지른 후 2년째 국내 게임산업에서 지배적 위치를 유지했다. ‘리니지M’, ‘리니지2 레볼루션’ 등 2017년에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던 게임들이 안정적인 운영을 지속해온데다 ‘검은사막 모바일’ 등 2018년 출시된 게임 또한 모바일게임의 성장을 뒷받침 했다. PC게임 매출액은 5조236억원(점유율 35.1%)으로 10.6% 늘었다. 콘솔(TV 연결 게임 기기)게임은 5485억원(3.7%)으로 41.5% 증가했다. 닌텐도 스위치의 판매 호조로 콘솔게임 타이틀 구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2018년 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1% 증가한 1783억 68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 게임 점유율은 6.3%로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4위 자리를 지켰다. 부문별 점유율을 보면 PC게임이 13.9%로 상위 10개국 중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모바일게임 점유율은 9.5%로 중국, 일본, 미국에 이어 4위를 유지했다. 한국 게임산업 수출액은 64억1149만 달러(7조546억원)로 전년 대비 8.2%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액 비중은 중국(30.8%), 미국(15.9%), 대만·홍콩(15.7%), 일본(14.2), 동남아(10.3%)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게임 수입액은 16.3% 증가한 3억578만달러를 기록했다.- 정리=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