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망·불평은 자기정당화를 먹고 자라밉상은 태도에서 나온다. 매사 부정적인 부하는 밉상이다. 한 조사에 의하면, 밉상 부하로 ① 위아래 없이 건방진 부하 ② 능력도 배울 의지도 없는 부하 ③ 거짓말과 변명으로 책임을 회피하는 부하를 꼽았다. 우리가 하는 일의 90%는 태도와 관련 있다. 부정적인 태도는 개인의 능력을 해친다. 부정적인 태도는 부정적인 감정에서 나온다. 성공은 삶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변화 전문가인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개인의 잠재능력=(타고난 특성+후천적 특성)×태도’라고 말한다.부정적인 감정은 오십여 개다. 두려움은 모든 부정적인 감정의 출발이다. 우리는 무한 잠재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아이는 두려움을 모른다. 자라면서 부정적인 습관을 배우기 시작한다. 부정적인 습관은 부정적인 감정을 만든다. 적대감과 죄의식은 부정적인 감정의 왕이다. 부정적인 감정을 열매에 비유하면, 줄기는 원망과 불평이고, 물과 영양분은 자기정당화와 동일시다. 부정적인 감정을 없애려면, 원망과 불평을 베어내든지, 자기정당화와 동일시를 중단해 뿌리를 쇠약하게 만들어야 한다.원망과 불평은 항상 대상이 있다. 누구 때문이라는 허상의 벽을 만든다. 책임을 회피할 때 일어나고,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을 때 일어난다. ‘탓 심리학’은 인간의 본성이다. 잘 되면 내 덕, 안 되면 남 탓으로 돌린다. 아이는 모든 것을 어른에게 의존한다. 어른이 되면 돌봐주던 ‘그’가 사라진다. ‘그’가 나를 돌봐주기를 바란다면 착오가 생긴다. 의존욕구는 모든 신경증의 원인이다. 원망과 불평으로 발전하고, 좌절되면 적대감과 죄의식으로 발전한다. 어른이 되면 모든 것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모든 게 내 책임이다.자기정당화는 부정감정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고통을 사랑한다. 고통의 역사를 간직하고, 고통을 알아주기를 바란다. “내가 어떻게 살았는데!” 고통의 증거가 없어진다면 과연 누가 나를 알아줄까. 동일시는 부정감정을 진짜 나로 착각하는 것이다. 환자의 병을 내 병으로 동일시하는 의사는 바보다. 낙타가 짐을 지고 언덕을 넘고 있었다. 주인이 물었다. “오를 때와 내릴 때 중, 언제 더 힘든가?” 낙타가 대답했다. “오르고 내리는 게 아니라, 짐이 문제입니다.” 등에 있는 짐이 바로 부정감정이다. 짐은 진짜 나가 아니다.
기대·미움 자제하고 감정·의도 파악에 주력자, 그녀에게 탁월한 처방은 무엇인가? 첫째, 업무에 초점을 두자. 미움 때문에 일을 망칠 수 없다. 부정감정에 과잉 대응하지 말고, 불편하다고 그냥 놔두면 안 된다. 감정보다는 팩트(fact)에 주목하자. 업무에 대해서만 피드백을 해야 한다. 미움을 자제하고 이렇게 하자. ① 모든 판단을 중지한다. ② 팩트를 재차 확인한다. ③ 진정한 감정과 의도를 전달한다. 관계보다는 성과에 주목하자. A는 관계도 나쁘고 성과도 나쁜 팀원이다. 모든 팀원이 훌륭한 성과를 낼 수는 없다.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돼 있다. 관계도 좋고 성과도 좋은 팀원에게 투자 하는 게 낫다.둘째, 적당한 거리를 두자. 미움의 원인은 기대에서 온다. 기대를 버리자. 긍정적인 기대는 신뢰가 필요하다. 가까워지려다 관계가 더 나빠진다. 부정적인 기대는 더 위험하다. 나빠지려니 생각하면 관계가 더 악화된다. 어쨌든 한 팀이 되면 일정기간 함께 지내야 한다. 부정적인 사람의 심층에는 ‘상처받은 아이’가 도사리고 있다. 아무리 진정성이 있어도 오해와 왜곡이 생긴다. 미움이 올라오면 이렇게 해보자. ① 모든 판단을 중지한다. ② 상대의 감정을 느껴본다. ③ 상대의 의도를 파악한다. ④ 팩트를 재차 확인한다.셋째, 나를 돌아보자. 미움의 원인은 내게도 있다. 마음에서 해결 못하는 갈등은 밖으로 투사된다. 불교에 갈애(渴愛)란 말이 있다. 목말라 물을 찾듯이, 사랑에 매달린다는 뜻이다. 고통(苦)은 미움과 사랑에서 비롯되는데, 미움은 사랑의 갈구에서 온다. 미운 마음을 외면하지 말고, 힘들더라도 계속 보고 견디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상대를 이해하면, 사랑하지 않더라도 미움은 사라진다. 논어에 이런 말이 있다. “군자는 무엇이 잘못되면 우선 자기부터 반성해보고, 잘못이 없을 때 비로소 외부를 검토한다.”※ 필자는 정신과의사, 경영학박사, LPJ마음건강 대표. 연세대 의과대학과 동대학원을 거쳐 정신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연세대 경영대학원과 중앙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했다. [임상집단정신치료] [후박사의 마음건강 강연시리즈 1~5권] [후박사의 힐링시대 프로젝트] 등 10여권의 책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