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북·미 핵 합의 그 후] 김일성 사후 18년 만의 데자뷰
김정은 미국 업고 후계 굳히기 

강성대국 진입 공언한 4월 임박해 경제난 해결 모색한 듯…대남·대미 행보 주목  

이영종 중앙일보 기자
김정은 체제의 북한이 미국과 핵 합의에 도달했다. 2월 23일부터 이틀간 베이징에서 진행된 3차 북·미 협상을 통한 의기투합이었다. 회담을 이끈 글린 데이비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회담 결과 발표를 닷새간이나 미루며 철저한 보안 속에 평양과 워싱턴의 사후 조율을 거칠 정도로 공을 들인 작품이었다. 북한이 영변의 농축우라늄 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고 핵과 장거리 미사일의 시험을 중단하는 대신 미국은 24만t의 영양지원(Nutritional assistance)을 보내는 방식이다. 지난해 12월 김정일 사망으로 출범한 김정은 체제의 가시적인 첫 대미 행보로 기록될 수 있는 사안이다.



이번 합의는 1994년 7월 김일성 사망 이후의 북·미 간 핵 협상을 떠올리게 한다. 북한은 당시 김일성 사망이란 충격 속에서도 미국과의 핵 줄다리기 테이블에 앉았다. 결국 그 해 10월 북핵 개발과 관련한 북·미 간 합의 틀이라 할 제네바 기본 합의를 이뤘다. 이번 타결은 그야말로 ‘어게인(Again) 1994’나 ‘18년 만의 데자뷰’로 불릴 만하다. 물론 거래 아이템은 다소 차이가 있다. 제네바 기본 합의가 북한의 흑연원자로를 주축으로 한 핵 시설의 동결을 대가로 식량과 중유 지원과 함께 경수로 2기를 획득한 것이라면, 이번에는 말썽 많던 우라늄 농축 핵 개발 프로그램과 맞바꾸는 형식이다. 6자 회담이 재개되면 대북 경수로 지원문제를 논의하는 쪽으로 의견접근을 본 것도 마찬가지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28호 (2012.03.1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