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CEO essay | 젊은이들이여 지금은 ‘新성숙시대’ 

 

이강호 한국그런포스펌프 회장

아름다웠던 가을 단풍잎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니 올해도 벌써 저물어 가고 있다. 한 해를 돌아 보며 시간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니 장자의 추수(秋水)편에 나오는 글귀가 생각난다. ‘여름 벌레에게 겨울의 얼음에 대해 이야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시간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夏蟲不可以語於氷 篤於時也)’. 여름 벌레는 여름이라는 ‘시간의 경계’에 갇혀 겨울의 얼음을 알지 못한다. 지난 번 100세 시대를 맞아 예전 삶의 관습과는 차별화해서 젊고 멋지게 살자고 ‘新청년시대’를 제안했었다. 이번에는 글로벌 시대의 한 가운데에 살고 있는 우리 젊은이들에게 더욱 성숙해야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新성숙시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며칠 전 심각한 구직난 때문에 취업을 미루고 학교에 머무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TV 뉴스를 봤다. 한참 사회로 진출할 나이인 25~29세 사이의 재학생이 1990년 3.3%에서 2010년 12.7%로 급증했다고 한다. 특히 30~34세 사이 청년층 재학생 비중이 무려 6.6배 증가했다. 그 결과,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나이가 남성은 33.2세, 여성은 28.6세라는 통계가 나왔다. 그렇게 취업한 사원들은 ‘신입’이라는 이름으로 2~3년의 시간을 보내고 금세 30대 중반을 맞는다.

최근 10년 가까이 글로벌 인재(Global Talent) 선발 프로그램의 기획부터 운영까지 참여해오면서 잠재력 있는 여러 나라의 젊은이들을 관찰할 기회가 많이 있었다. 글로벌 인재 프로그램이란, 보통 사람들보다 빨리 성장할 잠재력을 갖추고 탁월한 실적으로 전략적 차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고 육성하는 제도를 말한다. 후보 인재들은 전 세계에서 추천돼 치열하게 경쟁하게 된다. 그들의 평균 연령은 보통 30대이다. 글로벌 인재들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보통 2~3개 국어를 소화해야 하며, 탁월한 사업 감각과 뛰어난 사업 결과를 달성해내는 역량이 요구된다.

글로벌 시대를 살고 있는 20~30대의 청춘들은 결코 어리거나 젊은 나이가 아니다. 중요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인물들과 세계적인 기업의 CEO 나이가 점점 더 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40대 중후반이면 세계적인 기업의 글로벌 CEO로 발탁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 되고 있다. GE의 잭 웰치 회장이나 씨티그룹의 존 리드 회장도 40대 초중반에 글로벌 CEO로 발탁됐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됐을 때의 나이는 미 대통령 역사상 3번째로 젊은 46세였다.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취임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47세였다.

세계가 이렇게 흘러가고 있는데도 많은 한국의 젊은이는 ‘시간의 경계’에 갇혀 본인을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가끔 학생들이나 기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에게 “여러분은 약 15년 후에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의 CEO가 되거나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리더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하곤 한다. 30세 전후의 젊은이들에게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게 하기 위한 자세를 갖추게 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 30세 전후의 젊은이들 은 아직도 ‘신입’ 사원의 여유를 갖고 느린 속도로 글로벌 무대에 다가서고 있는 듯하다. ‘시간의 경계’ 속에서 벗어나 빨리 능력을 갖추고 성숙한 인재로서 글로벌 변화보다 앞서가는 자세가 절실하다.

1264호 (2014.12.08)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