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부장의 정치·사회 인식 - “나는 중도·무당파”가 절반 넘어 

박근혜정부 국정수행 평가 평균 ‘D’ 학점 … “이민 고려해 봤다” 58% 


본지 설문에 응한 부장들 중 절반 이상은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중도’라고 답했다. 박근혜정부의 국정수행 능력에 대해선 낙제점을 줬다. 우리 사회가 공정하다고 보는 이들도 적었다. 40대~50대 초반인 우리 시대 부장들은 젊은 세대가 느끼는 불안과 불만에 공감하고 있었다.

이번 설문에서 부장들이 평가한 박근혜정부의 국정수행 평균 점수는 ‘D’다. 간신히 낙제는 면했지만, 다섯 명 중 한 명은 최하 점수인 ‘F’로 평가했다. ‘B’ 이상의 점수를 준 부장은 전체의 7%에 불과하다. A학점을 준 부장은 단 1명이었다.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대해선 54%(102명)가 ‘중도’라고 답했다. 보수(28%)나 진보(19.1%)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2013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정치성향 추이에서 중도(38.2%)가 보수(34.8%), 진보(24.1%)와 큰 차이 없었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정부의 기업정책 “뭔가 잘못되고 있다”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는 57.1%가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응답했다. 새누리당 지지율은 21.2%였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조사한 1월 넷째 주 전체 유권자의 새누리당 지지율인 35.9%보다 훨씬 낮다. 그렇다고 야당을 지지하는 이들이 그리 많은 것도 아니다. 응답자의 21.7%만 야당(새정치민주연합 17.5%, 진보정당 4.2%)을 선택했다. 이 역시 일반 정당지지율 조사(27.5%)보다 낮은 수치다.

부장들은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이 여야의 공동 책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부와 여당이 정치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면서, 동시에 야당 또한 무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무당파’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은 의외의 결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기업 부장급은 40~50대에 중 상위 수준의 소득을 가진 계층이다. 무당파는 일반적으로 정치 이념과 당파성보다는 후보와 이슈에 따라 투표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 부장 세대가 향후 주요 선거에서 큰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부장들은 기업 정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현 정권의 기업정책에 대해 ‘불만족(38.62%)’ 또는 ‘매우 불만족(17.46%)’이라고 답했다. ‘매우 만족’이라고 답한 부장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국정수행 점수에 대해 ‘D’라고 한 응답한 대기업 부장은 이렇게 말했다. “세부적인 국정 운영이야 잘 모르지만 이거 하나만은 확실한 것 같다. 뭔가 잘못 되고 있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에 대한 시각도 냉소적이다.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잘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5%가 ‘별로 잘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기업에 어떤 책임을 기대하는 것일까. 설문에서 부장들은 고용(38.9%)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28.6%)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봤다. 화두로 떠오른 취업난, 저성장과 관계가 깊다. 부장들이 생각하는 기업의 책임에서 한국 경제의 고민이 묻어난다.

“우리 사회 공정하지 않다” 80%

마음에 안 드는 정부와 기업, 팍팍한 생활에 이민을 생각하는 이들도 많다.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의 58.2%가 ‘이민을 고려한적 있다’고 답했다. 한 응답자는 “없다. 그런데 나만 빼고 모든 가족들이 이민을 원한다”고 답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그만큼 한국에서 사는 게 팍팍하게 느껴진다는 얘기다. 이민을 생각한 이유에 대해 다른 응답자는 “이미 사회에 자리 잡은 나보다는 이제 자라나는 아이들을 보면 조금 더 살기 편하고 공정한 사회에서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자식에게 공정한 사회를 물려주고 싶은 부장들이지만, 그들이 느끼는 현실은 이상과 다르다. 부장들 대부분(80%)은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대답했다.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답한 이가 65.1%, ‘전혀 공정하지 않다’고 느낀 사람은 14.8%다. 매우 공정하다고 말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이들이 원하는 공정한 사회는 ‘출발과 과정에 공평한 기회가 주어지고 노력한 만큼 보상을 받는 사회(58.2%)’다. ‘사회적 약자를 보다 많이 배려하고 실패해도 일어설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26.5%)’라는 답변보다 두 배 많았다. 그렇다면 무엇을 바꿔야 할까. 현재 개혁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를 물었다. 본지가 제시한 10가지 항목 중 ‘정치(38.6%)’라는 답변이 단연 많았다. 한 중소기업 부장은 “결국 보기의 다른 분야도 정치에서부터 제대로 된 해법을 제시해야 풀리는 문제”라고 말했다. 다른 답변으로는 ‘교육(16.7%)’과 ‘경제(13.8%)’가 뒤를 이었다. 아이들의 부모이자, 기업의 중간 관리자로서의 고뇌가 엿보이는 대답이다.

1273호 (2015.02.16)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