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News

[美 경기 침체 전조?] 기업의 현금 줄고 이익률도 떨어져 

투자 줄어 경기 침체 부추겨 ... 자사주 매입 덕에 증시는 호황 

이공순 글로벌모니터 에디터
주식 시장의 관점에서는 주가수익비율(PER)이 가장 중요한 가격 측정 척도로 쓰인다. 그러나 좀 더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기업들의 순현금 흐름(기업의 생산활동에서 나오는 현금의 증감)이 더욱 중요하다. 기업들은 이 자금으로 생산 확대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경기 정점에서 순현금 흐름은 최대치를 보이며, 현금 흐름 감소와 더불어 경기 하강이 시작된다. 그리고 불경기(경기 침체)에 돌입하면 오히려 현금 흐름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기업들이 불경기에는 투자를 줄이기 때문에 현금 흐름이 개선된다). 그런데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의 미국 경제는 이같은 원론적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2009년 상반기의 경기 저점 이후 지금까지 6년 이상 경기 회복이 이어지고 있지만, 기업 현금 흐름의 측면에서는 2010년 말 이후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났을까?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금 흐름의 개선(최종적으로는 투자 확대에 따른 이윤 총액의 증가)은 그에 앞선 투자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그런데 2011년을 정점으로 미국 기업의 투자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으며, 2013년 이후에는 전년 동기 대비로 완전히 ‘제로’ 상태에 머물고 있다. 현금 흐름만 정체 상태인 게 아니다. 계속 영업이익도 2012년 이후에는 정체 상태에 머물고 있다. 계속 영업이익은 영업활동에 따른 이익뿐만 아니라, 투자·재무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등을 가감해 산출한 이익을 말한다. 따라서 만일 금리가 떨어져 기업의 부채 부담(이자 비용)이 감소한다면, 이는 계속 영업이익에는 플러스로 작용한다. 그런데 이같은 계속 영업이익마저 2012년 이후에는 전년 동기 대비로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은 재무 측면에서는 미국의 제로 금리가 더 이상 재무적 수익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 활동에서 제로 금리의 혜택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한계에 봉착한 것이다.

이와 달리 세후이익은 지난해 4분기에 들어서부터 비로소 감소하기 시작했다. 세후이익은 지난해 4분기에는 258억 달러, 올 1분기에는 무려 1361억 달러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투자 가용 기업 내부 자금(internal funds)은 1분기 중에 1357억 달러 감소했다. 그러나 이처럼 기업 현금 흐름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도, 배당금은 지난해 4분기 대비 58억 달러나 증가했다(지난해 4분기는 그 전분기 대비 186억 달러 증가)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93호 (2015.07.1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