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中 반도체 굴기에 맞설 묘수 

 

김태섭 바른전자 회장
오늘날 기술 기반 산업은 국가 간 또 다른 형태의 패권 다툼이다. 우리나라는 30년 전 반도체산업에 첫발을 디딘 후 미국과 일본이 쥐고 있던 세계 반도체 패권을 가져와 국가 경쟁력을 높였다.

최근 한국의 반도체 패권에 대한 중국의 도전이 거세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6월 국가직접회로(IC) 발전추진요강을 발표한 후,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입했다. 올해 5월 기준 중국이 1년간 반도체에 투자한 금액은 75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대만 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UMC가 중국 푸젠성 샤먼에 62억 달러를 투입해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후 대형 투자가 잇따라 이뤄졌다. 중국은 세계 반도체 소비량의 60%를 차지하는 거대 소비국가다. 하지만 메모리 반도체의 90% 이상을 외국에서 수입해 자급률이 낮다. 중국은 국가적 대규모 투자로 자급률을 높이고 세계 반도체산업의 허브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포부다.

중국의 반도체 전략은 과거 일본의 전략과 비슷하다. 일본은 미국의 핵심 기술 도입에 힘입어 경제 발전을 이룩했다. GE가 컴퓨터 사업에서 손을 뗄 당시 일본은 재빨리 노하우를 사들였다. 소니는 미국이 개발한 VCR을 활용한 신제품을 만들어 시장 선도에 성공했다. 중국 역시 글로벌 기술 확보를 위한 굵직한 인수·합병(M&A)과 인력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여기에 막대한 자본까지 더해지면 성장세는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348호 (2016.08.2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