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Life

[방치하면 위험한 만성 근육통] 심하면 뇌 기능에도 악영향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스트레칭· 반신욕 등으로 근육 이완시켜야...MRI·CT로도 확인 못해

교사 김모(37)씨는 어깨와 목 통증을 달고 산다. 누군가 근육이 뭉친 것 같아 풀어주려고 누르면 깜짝 놀랄 만큼 아파한다. 어깨와 목만 아픈 건 아니다. 때때로 두통과 손 저림 증상을 토로한다. 특히 개학·운동회·현장학습 등 중요한 일정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 아예 목을 좌우로 돌릴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혹시 뼈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걱정돼 검사를 받아봤지만 이상이 없었다. 통증의 원인은 다름 아닌 근육이었다.

스트레스는 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키는 원인 중 하나다. 근육이 긴장하면 근육 내 미세혈관이 수축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근육 세포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근육 주변의 혈류량이 감소한다. 결국 근육 세포가 산소 부족 상태에 빠져 원활한 대사가 이뤄지지 않는다. 나쁜 대사물질이 근육에 그대로 쌓여 근육에 상처를 낸다. 이때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흉터가 생기는데, 이것이 통증의 근원인 ‘통증유발점’이다.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근섬유 길이가 짧아지고 근육이 가진 유연성과 근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한양대구리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심재항 교수는 “뒷목부터 등까지 길게 자리한 승모근, 목에 비스듬히 위치한 흉쇄유돌근, 얼굴에 분포한 안면근, 허리 쪽에서 척추를 지지하는 요방 형근이 스트레스에 특히 취약한 근육”이라고 말했다.

통증유발점이 있는 부위의 근육을 만져보면 단단한데, 그 형태가 띠 모양을 이룬다. 누르면 해당 부위뿐 아니라 주변부에도 통증이나 저린 느낌이 들곤 한다. 가령 통증유발점이 목 주위 근육에 생기면 두통, 눈 주변 통증, 이명, 어지럼증이 생기고 어깨 근육에 있으면 손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허리나 엉덩이에 통증유발점이 있으면 엉덩이와 다리가 저리기도 한다.

문제는 통증이 3개월 이상 이어질 때다. 통증유발점에서 만들어진 통증 신호는 중추신경계를 거쳐 뇌로 전달된다. 통증이 만성화하면 통증 신호를 나르는 신경뿐 아니라 주변 신경까지 예민해진다. 그러면 근육은 계속 긴장 상태에 놓여 유발점 수가 늘어나고 통증은 더 심해진다. 통증의 악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심재항 교수는 “통증유발점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고 중추신경계가 다시 근육의 긴장을 유발한다”며 “이때 교감신경계도 자극을 받아 혈관 수축, 현기증, 이명 같은 자율신경계 이상 증상까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심각한 것은 만성 통증을 방치할 경우 뇌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통증 자체가 스트레스 시스템을 작동시켜 뇌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시카고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만성 통증(요통)을 앓고 있는 환자 26명과 통증이 없는 사람 26명의 뇌 조직 영상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만성 통증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의 회백질 용적이 11%나 작은 것으로 확인됐다.

통증의 만성화를 막으려면 증세 초기부터 손을 써야 한다. 우선 단기간이라도 휴식할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스트레스 환경에서 벗어나는 게 중요하다. 근육 관리 역시 필수다. 한림대성심병원 통증클리닉 최이화 교수는 “근육 고유의 방향대로 스트레칭을 하고 따뜻한 물에서 반신욕이나 사우나를 해 근육을 주기적으로 이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산소 운동과 수면 관리까지 해주면 근육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방법으로도 통증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근육에서 발생한 통증은 MRI·CT 등 영상검사에서 확인할 길이 없다. 의사가 직접 만져서 통증유발점을 찾아내야 한다. 치료법으로는 주사 요법을 많이 권한다.

1405호 (2017.10.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