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연착륙 노린 ‘긴축’ 본격화
유통 ·서비스 공략해볼만 

중국 경제의 속도 조절 후폭풍 

남승률 ·정일환 기자
중국 정부의 긴축 기조 탓에 가뜩이나 포화상태인 제조업 진출은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철강 ·화학 업종 등이 우선 피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대신 6월에 빗장이 열릴 유통 ·서비스 분야가 새로운 황금 맥이 될지도 모른다. 올해 중국 경제는 긴축 기조에도 8%가 넘는 고성장을 지속하며 연착륙하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하반기에 본격화할 가능성이 큰 긴축기조란 것도 과잉투자를 솎아내는 구조조정 쪽에 무게가 실려 있다. 정문건 삼성경제연구소 전무는 “중국 정부는 개방 관리를 잘하는 데다 위안화 평가절상 등의 압력에도 잘 버티기 때문에 당장 위기 국면으로 접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진재욱 UBS증권 한국 대표도 “아시아에서는 연착륙 선례가 없어 호들갑을 떨고 있지만 정작 중국에서는 별로 동요가 없고 심지어 11%대의 성장 전망까지 나온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물론 한국 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커져 혹시 모를 중국 경제의 경착륙을 경고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국의 수출액 가운데 중국 수출 비중은 18.6%(올해 1분기 기준)에 이르고 있다. 지난해 중국에 투자한 돈도 45억 달러로, 홍콩과 일본에 이어 3위였다. 더구나 중국은 1988년과 95년 두 차례에 걸쳐 연착륙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한 전례가 있다. 각종 경제기관과 증권가에서 ‘중국 경제의 성장이 급격히 둔화하는 등 경착륙하면 한국 경제의 성장률이 1%포인트 이상 떨어지는 등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경고음을 내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406호 (2024.05.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