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차별 없애기’앞세워‘힘 키우기’ 

노동계는 왜 산별노조 주력하는가
4개 완성차 노조 산별 전환…화학섬유·공공·사무금융 노조도 가세 

조용탁 기자 ytcho@joongang. co. kr
지난달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국내 4개 완성차 노조가 기업별 노조에서 산업별 노조(산별노조)로 전환을 결의했다. 그동안 산별노조 출범에 가장 큰 걸림돌이란 말까지 듣던 완성차 노조의 가입으로 다른 노조들의 산별 전환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철강노조도 산별 전환을 결정했고 화학섬유, 공공, 사무금융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현재 66%의 조합원이 산별노조에 가입해 있는 민주노총은 연말까지 80% 가입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한 민주노총 관계자는 “산별노조는 이제 대세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왜 이들은 산별노조를 선택하고 있을까?



먼저 환경적 요인이 있다. 현행 노조법은 내년 1월 1일부터 노조 전임자에 대한 임금지급을 금지한다. 또한 기업별 복수노조가 허용된다. 산업 전반에 걸쳐 고용 불안감이 늘어났고 실제로 정리해고도 확산되고 있다. 중소기업들조차 공장 문을 닫거나 해외로 진출하고 있다. 그나마 있는 기업도 해외노동자나 비정규직을 선호하고 있다. 노조의 입지가 갈수록 줄어 단위 기업 노조만으로는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583호 (2021.05.0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