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es

[Management] 김환영의 아포리즘 경영학 (22) 매직 - 마법 같은 제품은 마법사 같은 사고에서 

창의·지식경영보다 중요한 건 매직경영…즉시성과 과감함이 중요 

김환영
영어 단어 ‘magic(매직)’은 우리말로 마법·마술·주술이다. 근대는 매직이 푸대접 받는 시대였다. 과학과 합리성이 매직을 구석으로 밀어냈다. 영국의 철학자·정치가 프랜시스 베이컨(1561~1626)은 이렇게 말했다. “배움이 없는 사람들은 기예와 자연의 허다한 비밀이 마술 같다고 생각한다(Many secrets of art and nature are thought by the unlearned to be magical).” 독일 사회과학자 막스 베버(1864~1920)는 근대를 표상하는 합리성(rationality)이 마법을 탈피하는 데서 나왔다는 결론을 내렸다.



근대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탈근대다. 매직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화려하게 컴백했다. 우리는 매직과 과학기술이 서로의 경계를 잠식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발전할 만큼 발전한 기술은 매직과 구별이 안 된다(Any sufficiently advanced technology is indistinguishable from magic).” 영국 과학소설 작가 아서 클라크(1917~2008)가 한 말이다. “누군가에게 ‘매직’은 또 다른 누군가에게 엔지니어링이다. ‘초자연적’이라는 말은 의미가 없다(One man’s ‘magic’ is another man’s engineering. ‘Supernatural’ is a null word).” 미국 과학소설가 로버트 하인라인(1907~1988)이 한 말이다. 초자연과 자연이 만나는 곳에서는 과학기술과 매직도 조우한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40호 (2012.06.04)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