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4년부터 웰빙 바람 불어2007년은 창업 시장이 전반적으로 정체되던 시기다. 이런 가운데 자본이 부족한 창업자들을 중심으로 온라인 마켓이 급성장했다. 매장을 두지 않아 초기 비용이 적고 진입장벽이 낮아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또 가격 파괴 브랜드 화장품 전문점 등 소비재 업체들이 과도한 마케팅 비용 등으로 어려움을 겪자 인터넷 쇼핑몰이 약진하기 시작했다. 외식산업에서는 폭음 문화가 줄고 개성과 문화를 중시하는 분위기가 강해지며 세계 각국의 다양한 요리와 색다른 인테리어를 즐길 수 있는 퓨전 주점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퓨전 실내포장마차, 해물요리 주점, 세계 꼬치요리 주점 등이 대표적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치킨 매출이 줄어든 것도 이들 주점·식당의 성장에 영향을 줬다.2008~2009년은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에 미국산 소고기 파동까지 겹치며 소비시장이 바닥을 기던 시기다. 이 때문에 창업 시장도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기대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당시 정부가 꺼내든 ‘녹색성장’의 영향으로 자전거 대리점이나, 태양광 보일러 사업 등이 각광을 받았다.외식산업에서는 소고기 파동의 영향이 가장 컸다. 소고기 전문점이 몰락하고 삼겹살 등 돼지고기 전문점이 반사 이익을 누렸다. 일부에서는 호주·뉴질랜드산 소고기 전문점이 대안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육회를 프랜차이즈화 한 가게들이 속속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 음주 문화에서도 웰빙 바람이 불며 막걸리 전문점도 창업 대세에 합류했다. 당시 막걸리에 포도·딸기·홍시 등을 섞은 칵테일 막걸리가 유행처럼 번지기도 했다. 막걸리와 짝을 이루는 홍어·수육·파전 관련 점포도 많이 생겼다.2010년 창업의 가장 큰 특징은 1인 중심의 소형 창업이 다시 늘어났다는 점이다. 장기 침체 여파로 투자 여력이 많이 줄어든 탓에 소형 짬뽕 전문점과 카페형 도시락 전문점, 일본 라면 전문점이 인기를 끌었다. 특히 커피 전문점도 커피 트럭의 확산과 더불어 소형화 추세로 접어들었다. 아울러 스마트폰의 보급에 발맞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아이디어 창업도 봇물을 이뤘다.2011년은 소비자들의 주머니를 열기 위한 ‘복합’ 개념 창업이 늘어난 시기다. 외식사업에서는 돼지고기와 소고기를 함께 판매하는 종합고기집이, 분식업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파스타 등 이탈리아 요리를 함께 판매하는 곳이 늘었다. 이런 가운데 웰빙의 흔적은 여전히 남아 있어 치킨시장에서는 2010년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한 굽는 치킨과 파닭의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 2012년 외식산업에서는 큰 트렌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컵과 박스 등 여러 단위로 판매하는 닭강정의 인기가 시작됐다. 치킨과 달리 계량이 다양해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부터 가족 단위까지 폭 넓은 사랑을 받았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보안과 소셜비즈니스, 빅데이터 사업이 IT 유망 사업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불황에 소규모 창업 다시 늘어소비심리가 워낙 꽁꽁 얼어있다 보니, 2013년 들어서는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분위기가 더욱 강해졌다. 이런 가운데 맞벌이·1인 가구를 겨냥한 세탁방과 청소대행 등 생활밀착형 업종과 어른과 아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키덜트’ 상품·서비스, 초저가 리모델링·리폼·리필 사업 등이 각광 받았다. 이런 가운데 여러 재화나 서비스를 함께 받을 수 있는 복합매장이 주류로 떠올랐다. 경정비업소와 세차장, 커피와 제과의 결합 등이 대표적이다. 또 주말 단기 여행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귀촌하는 젊은층이 늘면서 펜션·민박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2014년 창업시장은 ‘합리적인 사치’라는 특징을 꼽을 수 있다. 1~2년 전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하던 복합매장에 기반해, 서비스의 질을 높여 소비자의 발을 잡아놓는 형태의 창업이다. 예컨대 올해 들어 젤라또 등을 즐길 수 있는 사치스러운 후식 전문점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이곳에 어린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놀이시설을 구비해 식사·후식·놀이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게 했다. 또 1인 가구를 겨냥한 웰빙 식단도 각광을 받기 시작해 밥을 바 형태로 길게 구워 파는 밥바나 스몰비어 등도 인기를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