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천기술 개발에 400억원 투자이 회사의 가시적인 성과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먼저 나왔다. 지스마트글로벌은 지난해 2월 중국 에너지절약환경보전집단(CECEP)과 합작회사를 설립했다. CECEP그룹은 중국 중앙부처가 출자한 국영기업으로, 2013년 자산 규모는 약 17조원에 달한다. 합작회사에는 CECEP그룹이 9300만 위안을 출자하고, 지스마트는 기술 로열티로 받은 5700만 위안을 합작법인에 투자해 지분 38%를 확보했다.합작법인은 연간 1500억원 규모의 스마트글라스 생산라인을 구축해 중국 전역에 판매할 예정이다. 이 사장은 “중국 국영기업과의 합작을 통해 판로 확보뿐 아니라 ‘짝퉁’의 걱정도 덜게 됐다”며 “높은 기술장벽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지스마트는 이 밖에도 홍콩·싱가포르 등지의 시공 예정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말 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와 100억원 규모의 스마트글라스 공급 계약을 했다. 2월 2일에는 엘시티피에프브이와 200억원 규모의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사업 관련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사실 국내 시장은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옥광법)’ 규제로 진출에 한계가 있었다. 옥외광고물의 종류·크기·색깔·모양·지역·장소를 엄격하게 제한해 광고 목적의 스마트글라스 활용이 어려웠다. 그러나 지난해 말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일대가 ‘강남 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관광특구’로 지정됐다. 관광특구가 되면 옥외광고물 규제를 덜 받는다. 삼성동 일대에서는 대형 광고용 스마트글라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는 얘기다.또한 최근 옥광법 개정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옥광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미국의 타임스퀘어 광장이나 영국의 피카딜리 서커스와 같이 사업용 광고물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과 국제 경기와 연말연시처럼 일정 기간 동안의 조경용 광고 등을 허용하는 ‘한시적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을 지정·운영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기준이 없었던 디지털 광고물에 대한 규제를 개선해 LED 전광판, 터치스크린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 사장은 “향후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 국내에서 스마트글라스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최근 건설 계획 중인 초고층 빌딩은 스마트글라스 사업에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목하고 있는 건 현대자동차 신사옥이다. 건설 예정인 삼성동 한전부지는 관광특구에 지정돼 옥광법 규제를 덜 받는 데다가 프로젝트의 규모도 크다. 이 사장은 “현대차 측에서도 신사옥이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길 원하고 있어 스마트글라스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현재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귀띔했다.
콘텐트 판매가 미래 먹거리장기적으로는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콘텐트 판매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 사장은 “지금이 하얀 캔버스를 팔고 있는 것이라면, 이 캔버스가 많이 깔린 뒤에는 그림을 파는 것이 장기 플랜”이라고 표현했다. 스마트글라스에는 다양한 영상을 띄울 수 있지만, 이를 구현하는 데는 특수 작업이 필요하다. 창에 띄우는 화면을 사용자가 직접 바꾸지는 못하고 의뢰를 하거나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하는 것이다. 이 사장은 “콘텐트 사업을 가까운 미래 지스마트글로벌의 주 수익원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지스마트글로벌은 지난해 매출 260억원, 영업이익 20억원을 올렸다. 이 중 스마트글라스 부문 매출은 전체의 24%(61억원)이다. 영업이익은 약 6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10%다. 나머지는 기존 사업인 이미지센서 부문 매출이다. 이 사장은 “올해부터 스마트글라스의 영업이 본격적으로 늘면 매출과 영업이익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잡은 스마트글라스 부문 목표 매출은 250억원, 영업이익은 70억원(영업이익률 3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