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한국은행 | 국내 외화예금 800억 달러 돌파, 기업예금도 3개월 연속 증가세


국내 외화예금이 최근 3개월 연속 증가해 800억 달러를 넘었다. 2월에 잠깐 감소세를 보였던 외화예금은 이후 3~5월 동안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등 불안한 경제상황도 일부 영향을 줬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거주자 외화예금 총 잔액은 올해 1월 749억 달러에서 2월 685억 달러로 감소했으나, 3월부터 752억 달러, 4월 781억 달러, 5월 809억 달러로 3개월째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미국달러는 2월 585억 달러, 3월 644억 달러, 4월 680억, 5월 699억 달러를 기록했다. 유로화(달러 기준)는 2월 41억 달러에서 3월 36억 달러로 감소하다 4월 34억 달러, 5월 41억 달러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중 기업이 차지하는 금액은 2월 528억 달러, 3월 593억 달러, 4월 619억 달러, 5월 649억 달러로 늘고 있다. 개인 금액은 160억달러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달러화 예금의 증가는 기업들의 결제대금과 금전신탁 만기 도래에 따른 자금 일시 예치 등의 영향이 크다. 유로화 예금의 증가는 증권사의 해외 투자 관련 증거금의 일부 회수와 일부 기업들의 수출대금 일시 예치 등에 따른 것이다. 개인예금은 4월 162억 달러에서 5월 159억8000만 달러로 약 2억2000만 달러 감소했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환차익을 거두기 위해 개인들이 달러화 매도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 국내 기업, 6개월 이상 국내에 거주한 외국인,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외화예금이다.

부동산114 | 청약경쟁, 수도권 급상승, 집값 급등 서울 쏠림 커져


수도권의 청약경쟁률이 10년 만에 지방을 앞질렀다. 최근 5년 동안 지방의 청약경쟁률이 보합세를 보이는 동안 서울·경기·인천의 청약경쟁률은 가파른 상승세를 계속해 지방을 추월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가 아파트 기준 수도권과 지방의 평균 청약경쟁률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이 지방을 앞지른 것은 2010년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2010년부터 3~4년 동안 수도권과 지방의 청약경쟁률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2015년부터 최근까지 지방의 청약경쟁률은 제자리 걸음을 이어갔다. 같은 시기 수도권 청약경쟁률은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 지난해부터 지방을 앞지르기 시작해 최근엔 가파른 상승곡선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6월 11일까지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40.7대 1로, 18.3대 1에 그친 지방보다 2배 넘게 높았다. 올해 들어 전국에서 청약을 받은 아파트 130곳(수도권 56곳, 지방 74곳) 가운데 경쟁률이 100대 1을 넘는 곳은 16곳이다. 이 가운데 약 75%인 12곳이 수도권 아파트다.

올해 서울지역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99.3대 1에 이른다. 집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서울에서 올해 분양된 8곳 가운데 4곳이 100대 1을 넘었다. 서울은 투기과열지구에 속해 정부의 규제 강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집값과 전월세가 가파르게 뛰자 더 오르기 전에 내 집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불안감이 수요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공급 감소를 우려해 희소가치가 부각된 점도 한 배경이 됐다.

금융투자협회 | 자산운용사 1분기 실적 희비, 덩치 큰 한화, 순익은 반토막


국내 10대 자산운용사들의 1분기 실적이 희비가 엇갈렸다. 금융투자협회의 작년 동기 대비 올해 1분기 순이익 자료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 NH아문디자산, 교보악사자산, 흥국자산, 이지스자산은 증가했다. 반면 한화자산, KB자산, 신한BNP파리바자산, 한국투자신탁운용, 키움투자자산, 신영자산은 감소했다. 삼성자산은 지난해 같은 143억원으로 제자리 걸음에 그쳤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체 자산운용사 순이익 총합의 45%에 달하는 순이익(521억원)을 벌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406억원)보다 28%나 증가한 실적이다. NH아문디자산운용은 작년보다 39% 늘어난 61억원을, 교보악사자산운용은 8% 증가한 27억원을, 흥국자산운용은 24% 늘어난 27억원을 각각 벌어들였다. 부동산 전문운용사로 꼽히는 이지스자산운용은 126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회사 규모는 국내 10위권이지만 그보다 높은 상위권 운용사들보다 더 많은 이익을 냈다. 1년 전(21억원)과 비교하면 5배나 늘어난 금액이다.

운용자산 규모가 약 10조1400억원으로 국내 20위권으로 평가 받고 있는 신영자산운용은 순이익 15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241억원)보다 34% 줄어든 실적이다. 하지만 신영자산운용의 자산규모를 고려하면 좋은 실적을 거둔 셈이다. 반면, 한화자산운용은 운용자산 규모가 국내에서 세 번째로 큰 대형 운용사지만 1분기 순이익은 28억원에 그쳤다.

1년 전 같은 기간 실적과 비교하면 거의 반토막 수준이다. KB자산운용은 108억원의 순이익을 거뒀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줄었다. 신한 BNP파리바자산운용은 47억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58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순이익이 감소했다.

통계청 | 직원 둔 자영업자 감소세, 감소폭 커져 외환위기 수준


자영업자의 고용능력이 21년 전 외환위기 때만큼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 수는 올해 2월 145만9000명에서 3월 139만8000명으로 꺾이기 시작해 4월 138만8000명, 5월 138만4000명으로 하락세다. 5월 수치는 1년 전보다 20만명이나 감소한 수치다. 이 같은 감소폭은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12월(28만1000명 감소) 이후 21년 만에 가장 큰 폭이다. 코로나19가 외환위기에 버금가는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 수는 5월까지 18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특히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감소폭은 3월 -19만5000명, 4월 -17만9000명, 5월 -20만명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지만, 자기 혼자 일하거나 가족과 일하는 형태인,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는 5월 421만7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1만8000명이나 늘어났다. 16개월 연속 증가세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감소하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늘어나는 이유는 경기침체 장기화, 코로나 사태 등의 여파로 인건비가 큰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이밖에 임시직 취업자(고용계약기간 1개월 이상~1년 미만) 수도 급감했다. 이들은 5월 445만3000명을 기록, 1년 전보다 50만1000명이나 줄었다. 이 감소폭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2월(44만7000명 감소)을 뛰어넘는 규모다. 이와 함께 일용직(고용계약기간 1개월 미만) 취업자도 5월 132만8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5만2000명 감소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 한국 반도체 ‘샌드위치’ 고전, 정부 등에 업은 중국 맹추격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샌드위치’ 신세로 고전하고 있다. 선두인 미국과의 격차 따라잡기는 까마득한데 후발주자인 중국이 매섭게 따라오고 있어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제 반도체 시장 지표를 분석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2010~2019년) 동안 세계 반도체 시장의 국가별 평균 점유율은 미국 49%, 한국 18%, 일본 13%, 유럽 9%, 대만 6%, 중국 4%다.

미국은 10년간 45% 이상의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했으며, 중국은 2% 미만에서 2019년 5%까지 꾸준히 성장했다. 한국도 2010년 14%에서 2018년 24%로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9년에 19%로 감소했다. 한국의 점유율은 미국과의 격차는 소폭 줄였지만 중국과의 격차는 좀처럼 벌리지 못한 것이다. 중국의 맹렬한 추격은 관련 논문 건수에서도 엿볼 수 있다. 국제고체회로학회가 발표하는 채택논문 건수를 보면 미국이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중국은 2011년 4건에서 2020년 23건으로 급증, 연구 실적을 빠르게 쌓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중국 간 기술격차도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경우 2017년 기준 0.6년으로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반면 한국·미국 간 기술격차는 2013년 1.9년, 2015년 1.6년으로 좁혀지다 2017년 1.8년으로 답보 상태다. 전경련은 중국의 추격은 정부의 막대한 지원 덕분인 것으로 분석했다. 전경련은 최근 미·중 경제전쟁이 심화해 미국 정부도 자국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위원회 | 가정의 달에 빚잔치, 5월 가계대출 3조6000억 ↑


가정의 달 5월에 가계 빚이 더욱 늘었다. 정부의 규제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은 줄었으나 경기침체 여파로 신용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가계대출을 조사한 결과 5월에 3조6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4월(3조원 증가)보다 6000억원 더 늘어난 규모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도 2019년엔 4.7%, 올해 5.2%로 커졌다. 5월 가계대출을 금융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대출은 5조원 늘었으나 제2금융권 대출은 1조4000억원 줄어 대조를 이뤘다. 대출항목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은 3조7000억원 늘었다. 은행권에서 일반 주택담보대출(정책모기지 포함)이 8000억원, 전세자금대출이 1조9000억원, 집단 대출이 1조1000억원 각각 늘어나 총 3조9000억원이 증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조원 늘어났으나 지난달보단 1조원 줄어든 액수다.

최근 3개월 동안 은행권 전체 주택담보대출 증감 추이는 3월 6조3000억원, 4월 4조9000억원, 5월 3조9000억원으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한동안 가파르게 증가했던 전세대출도 증가폭이 줄었으며 특히 제2금융권 전세대출은 전월에 비해 2000억원 줄었다. 지난달 주택 매매, 전세 거래 등이 줄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가 꺾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신용대출은 계절적 요인 등에 따라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에서는 1조2000억원 증가했다. 5월 가정의 달 자금수요가 늘면서 신용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제2금융권은 카드대출(여전), 계약대출(보험) 등이 줄어들면서 1조2000억원 감소했다. 한편, 5월말 기준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은 945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증가 규모는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올해 4월(27조9000억원), 3월(18조7000억원)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금액이다.

- 정리=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1540호 (2020.06.29)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