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북한.국제

Home>월간중앙>정치.사회.북한.국제

[글로벌 포커스] 남태평양 섬나라를 잡아라, G2의 ‘21세기판 태평양전쟁’ 

미국 ‘푸른 태평양 협력체’ 결성에 중국, ‘포괄적 개발 비전’으로 대응 

中, 솔로몬제도 포섭해 남태평양 교두보 마련… 왕이 외교부장도 공들여
美, 호주와 연합해 중국 확장 저지, 다국적 해상 합동훈련 ‘림팩’도 실시


▎2019년 10월 마나세 소가바레(오른쪽) 솔로몬제도 총리가 베이징을 방문해 리커창(가운데) 총리의 환대를 받았다. / 사진:AP연합뉴스
과달카날은 남태평양의 솔로몬제도에서 수도인 호니아라가 있는 가장 큰 섬이다. 이 섬의 육지와 바다, 공중에서 1942년 8월 7일부터 1943년 2월 7일까지 6개월간 제2차 세계대전에서 태평양전쟁의 전세를 바꾼, 미군과 일본군 사이의 가장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미드웨이 해전 패배를 만회하려던 일본군은 미군과 호주·뉴질랜드군의 연합 작전을 차단하기 위해 과달카날을 비롯한 남태평양의 섬들을 점령했다. 특히 일본군은 과달카날에 비행장을 만들어 호주에 주둔한 미군의 교두보를 공습하려는 계획까지 추진했다.

미군은 일본군의 이런 작전을 저지하기 위해 해병대를 과달카날에 상륙시켜 비행장을 탈환했다. 일본군도 육·해·공 병력을 대거 투입해 반격에 나섰다. 미군은 일본군과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 끝에 이 섬을 완전히 점령했다. 이후 미군은 과달카날을 거점으로 괌과 사이판에 이어 오키나와까지 점령했다. 과달카날은 이처럼 태평양전쟁에서 전략 요충지였다. 찰스 에델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당시 미국은 과달카날 전투에서 승리해 일본의 남태평양 진출을 차단했고, 솔로몬제도를 발판 삼아 태평양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미국, 중국의 남태평양 진출 의도 오판했다

솔로몬제도는 과달카날 전투가 치러진 지 80년이나 지났지만, 지금도 남태평양의 중요한 전략 요충지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솔로몬제도를 놓고 마치 ‘제2의 태평양전쟁’을 벌이는 것처럼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인구 69만여 명, 992개 섬으로 이뤄진 솔로몬제도는 전체 면적이 2만8400㎢이며 한반도의 8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136달러(2020년 기준, 270만원)로 세계 최빈국 중 하나다. 언뜻 별 볼 일 없어 보이지만,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에 있다. 솔로몬제도는 호주 북단에 위치한 노던준주(Northern Territory)의 주도 다윈에서 2000㎞, 미국의 태평양 군사 거점인 괌에서 남쪽으로 3000㎞ 떨어진 전략 요충지다. 미국은 괌 기지의 백업용으로 다윈 인근에 대규모 공군 급유 시설과 새 해군 기지를 건설하고 있으며, 해병대 병력 2600여 명을 순환 배치하고 있다.

미국과 호주는 그동안 솔로몬제도에 영향력을 행사해왔지만, 주민들의 생활 향상을 비롯해 경제 지원 등에는 소홀했다. 실제 미국은 1993년까지 5년 동안 솔로몬제도에 대사관을 뒀지만, 이후에는 영사관으로 급을 낮췄다. 다르샤나 바루아 카네기 국제평화기금 연구원은 “미국과 호주는 기후 변화, 불법조업, 마약 밀매, 인신매매, 코로나19 팬데믹 등 고통을 호소했던 남태평양 도서국들에 협력을 약속했을 뿐, 실질적인 지원을 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이런 점을 파고들면서 솔로몬제도와의 관계를 강화해왔다. 특히 중국은 대만과 단교할 경우, 솔로몬제도에 대규모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는 등 ‘금전 외교’를 적극적으로 벌여왔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마나세 소가바레 솔로몬제도 총리는 2019년 4월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를 선언했다. 당시 호주 ABC 방송은 “중국이 제공한 5억 달러(약 6200억원) 규모의 재정 지원 때문에 솔로몬제도가 대만과의 관계를 단절했다”고 보도했다.

‘차이나 머니’를 맛본 소가바레 총리는 같은 해 5월 중국 베이징을 전격 방문,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 등 중국 지도부와 회동하고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에 관한 양해각서(MOU)까지 체결했다. 중국은 대만 독립 성향이 강한 차이잉원 총통이 2016년 집권한 이후 대만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해 남태평양과 중남미의 작은 나라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해왔다. 그래서 미국과 호주는 중국과 솔로몬제도와의 수교를 대만에 대한 외교 고립 공세의 일환으로만 간주해왔다. 하지만 중국의 더 깊은 속셈은 대규모 물량 공세를 바탕으로 솔로몬제도를 전략적으로 포섭해 남태평양에 교두보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중국과 솔로몬제도는 4월 20일 안보협정을 체결해 미국과 호주를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이 협정에는 중국이 솔로몬제도에 해군 함정을 파견해 현지에서 물류 보급을 받을 수 있고,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 군과 무장경찰을 파견할 수 있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이 협정에 따라 중국은 솔로몬제도를 해군의 원양 작전 기지로 활용할 수 있게 된 셈이다.

미국은 협정 체결 전날인 4월 19일 ‘아시아 차르’라 불리는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을 단장으로 하는 고위 대표단을 솔로몬제도에 긴급 파견해 중국과의 안보협정 체결을 막으려 했지만 소용없었다. 중국은 솔로몬 제도와의 안보협정에 따라 미국, 영국, 호주 3국 안보협의체인 오커스(AUKUS) 동맹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전략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게다가 중국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사령부가 있는 하와이까지 군사적으로 압박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호주 언론도 중국과 솔로몬제도의 안보협정을 우려했다. [헤럴드 선]은 “솔로몬제도에 중국의 해군 기지가 들어서면 호주에 대한 중국의 포위가 완성된다”고 경고했다.

호주의 ‘차이나 포비아’


▎ 사진:연합뉴스
중국은 여세를 몰아 남태평양 도서국들과의 안보·경제 협력을 위한 ‘포괄적 개발 비전’이라는 협정 체결을 추진했다. 왕이 외교부장은 5월 30일 피지에서 ‘제2차 중국-태평양 도서국 외교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협정을 체결하자고 제의했다. 이 회의에는 솔로몬제도·키리바시·사모아·피지·통가·바누아투·파푸아뉴기니·니우에·쿡제도·미크로네시아 등 남태평양 섬나라 10개국이 참가했다.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화상으로 보낸 축사에서 “중국과 태평양 도서국들이 운명 공동체를 건설하자”면서 “국제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중국은 태평양 도서국들과 뜻을 같이하는 좋은 친구이자 난관을 함께 넘어가는 형제”라고 강조했다.

이 협정에는 중국이 남태평양 섬나라들과 안보 협력 관계를 맺고 중국 공안을 파견해 해당 국가의 경찰훈련을 진행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정치적 관계 확대, 천연자원에 대한 접근권 확대 등도 포함됐다. 중국은 남태평양 도서국들에 대규모 재정 지원 및 자유무역협정 체결, 중국 시장에 대한 접근 등 20개 경제협력 패키지를 제공하겠다는 ‘당근’도 제시했다. 하지만 일부 섬나라들이 반대해 이 협정 체결이 무산됐다. 미크로네시아를 비롯해 통가와 파푸아뉴기니 등이 중국에 지나치게 밀착할 경우 미국과 호주 등 서방국가들과의 관계가 악화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데이비드 파누엘로 미크로네시아 대통령은 “중국의 제안은 불필요하게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지역 안정을 위협할 것”이라며 “잘하면 신냉전 시대, 최악의 경우 세계대전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면서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당시 호주는 이 협정 체결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호주의 입장에서 볼 때 중국이 솔로몬제도처럼 남태평양 도서국들과 안보협정을 체결할 경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호주는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이 남태평양 섬들을 점령했던 악몽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호주는 그동안 남태평양 도서국들을 ‘앞마당’으로 간주해왔다.

지난 5월 21일 총선에서 승리해 정권을 잡은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5월 27일 페니 웡 외교장관을 피지 수도 수바에 급파했다. 중국계인 웡 장관은 “중국이 추진하는 협정은 역내 국가의 단결을 방해하고 안정과 번영에 위협이 된다”며 남태평양 섬나라들을 설득했다. 웡 장관의 외교력 덕분인지 몰라도 피지는 남태평양 섬나라로는 처음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참여했고, 미크로네시아 등도 입장을 바꿨다. 앨버니지 총리는 총선 유세 때 스콧 모리슨 전 총리를 겨냥해 “솔로몬제도와 중국의 안보협정 체결을 막지 못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외교 실책”이라고 강하게 비난하는 등 중국의 남태평양 진출에 우려를 표시해왔다.

앨버니지 총리는 노던준주 정부가 중국 기업과 체결한 다윈항 99년 임대계약도 전면 재검토할 계획이다. 노던준주 정부는 2015년 다윈항을 민영화하면서 항구 운영권을 3억9000만 달러(약 5036억8500만원)에 중국 기업 랜드브리지에 99년간 장기 임대했다. 랜드브리지는 중국 란차오(嵐橋)그룹이 소유한 기업이며, 예청 최고경영자(CEO)는 인민해방군 출신이다. 앨버니지 총리는 “다윈항 임대계약과 관련해 주 정부 또는 하위 기관의 대외관계에 연방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호주 의회는 2020년 12월 연방정부가 국가 안보와 관련해, ‘지방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외국 또는 외국기관과 체결한 각종 계약을 재검토해 파기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의 ‘대외 관계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호주 외교부는 지난해 4월 빅토리아주 정부가 2018년과 2019년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각각 체결한 일대일로 사업 관련 양해각서와 기본합의를 파기한 바 있다.

중국, 과거 일본의 전략을 그대로 차용


▎2022년 5월 앤서니 앨버니지(왼쪽) 호주 총리는 도쿄에서 미국, 일본, 인도 정상과 ‘반중국 연합전선’ 성격을 띠는 쿼드 회담을 가졌다. / 사진:연합뉴스
중국의 남태평양 진출 전략에서 주목할 점은 과거 일본의 전략을 그대로 차용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1930년대 남태평양 섬들에 항구와 공항을 건설하면서 적극적으로 진출했다. 특히 일본은 1941년 12월 미국의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기 전에 이미 남태평양에 10개 군사기지를 만들었다. 도모유키 이시즈 일본 방위연구소 군 역사센터 소장은 “일본은 미국과의 전쟁에 대비해 남태평양에 군사 전진 기지를 만들었다”면서 “일본은 남태평양 섬들의 군사기지를 ‘침몰하지 않는 항공모함’으로 생각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본군은 1942년 파푸아뉴기니의 라바울에 공군과 해군 기지를 만들어 남태평양의 제공권과 제해권을 확보하기 위한 거점으로 활용했다. 중국은 1980년대부터 태평양전쟁을 연구해왔으며 일본군의 진주만 기습과 미드웨이 해전은 물론 과달카날 전투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왔다. 특히 중국은 일본의 이른바 ‘남양군도(南洋群島)’를 활용하는 전략을 연구해왔다. 남양군도는 오늘날 미크로네시아를 비롯해 솔로몬제도 등 남태평양의 섬나라들을 일컫는 말이다. 토시 요시하라 미국 전략예산평가센터(CSBA) 선임연구원은 “중국의 전략은 일본군이 태평양전쟁 때 사용했던 전법과 닮은 꼴”이라면서 “중국이 남태평양 섬나라들에 전진기지를 확보할 경우, 미국과 호주 등 동맹국들을 견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남태평양 섬들은 ‘침몰하지 않는 항공모함’


▎2022년 6월 미국 태평양함대가 일본 해상자위대와 함께 남중국해에서 합동 훈련을 실행했다. / 사진:미 태평양함대
중국이 키리바시 칸톤섬의 활주로 개보수 사업을 지원하기로 한 것도 이런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왕 외교부장은 5월 27일 키리바시를 방문해 칸톤섬의 활주로 개보수 사업 등 인프라 지원 협약을 체결했다. 키리바시는 인구 11만 명, 전체 면적은 730㎢에 제주도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키리바시는 지난 2019년 솔로몬제도와 함께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칸톤섬은 하와이와 호주를 연결하는 중간에 있는 남태평양의 전략 요충지로, 미국이 태평양전쟁 때 군사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곳에 활주로를 건설했다. 칸톤섬은 하와이에서 남서쪽으로 3000㎞ 떨어져 있다. 중국이 칸톤섬의 활주로를 확보할 경우, 유사시 미국 항공모함이나 전함을 타격할 수 있다. 중국의 장거리 폭격기인 H-6J의 작전 반경은 3500㎞이다. 중국은 키리바시와도 솔로몬제도처럼 안보협정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또 인구 10만여 명인 미크로네시아도 노리고 있다. 미크로네시아는 미국과 경제 지원을 대가로 외교와 국방을 위탁하는 ‘자유 연합협정’을 맺고 있다. 현행 협정의 갱신 기한이 2023년으로 임박했지만, 아직 타결되지 않았다. 특히 미크로네시아의 야프섬은 괌 기지에서 700㎞ 정도 떨어져 있다. 중국이 이곳에 군사기지를 둘 수 있다면 미군을 강력하게 견제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한 점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태평양 양분(兩分)론에 따라 중국이 남태평양의 섬나라들을 ‘제3의 다오롄(島鏈·Island Chain)’으로 설정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시 주석은 2013년 6월 캘리포니아를 방문해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태평양은 미·중 양국을 모두 포용할 만큼 충분히 넓다”면서 “태평양을 양분하자”고 제의하기도 했다. 시 주석의 태평양 양분론은 하와이와 남태평양 섬나라들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서쪽은 중국이, 동쪽은 미국이 주도권을 행사하자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티모시 키팅 전 미 해군 태평양 사령관은 “하와이를 경계로 미국이 동쪽, 중국이 서쪽을 관리하자”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간부의 제안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의회에서 증언하기도 했다. 알렉산더 그레이 미국 외교정책협회 선임연구원은 “중국의 모습은 태평양전쟁 이전의 일본과 섬뜩할 정도로 닮아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이런 전략에 따라 해군력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6월 17일 상하이 장난조선소에서 세 번째 항공모함인 푸젠함을 진수시켰다. 푸젠함은 중국의 첫 항모 랴오닝함, 두 번째 항모 산둥함과 동일하게 재래식이지만, 함재기 이착륙을 위한 전자식 캐터펄트(사출기)가 장착됐다. 중국은 푸젠함을 2025년 실전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네 번째 항모를 건조하고 있는데, 이 항모에 핵 추진 엔진을 장착할 방침이다. 중국은 2030년까지 최소 4개 항모전단을 만들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 규모의 대양해군을 육성할 계획이다. 중국은 또 2035년까지 항모를 총 6척 실전 배치한다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PBP에 참여할까

발등에 불이 떨어진 미국은 6월 24일 호주·뉴질랜드·영국·일본 등과 함께 태평양 도서국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푸른 태평양 협력체(PBP: Partners in the Blue Pacific)’를 창설했다. 기존의 쿼드와 오커스에 이어 태평양을 무대로 하는 또 다른 기구가 탄생한 것이다. 미국 백악관은 공동성명에서 “태평양 도서 지역에는 기후위기, 코로나19 팬데믹과 규칙에 기반한 자유롭고 열린 국제질서에 대한 증가하는 압력 등 시급한 과제들이 있다”면서 “우리는 태평양 도서국들이 자주권과 투명성, 책임감이라는 원칙에 따라 발전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PBP는 쿼드 등과 마찬가지로 중국을 명시적으로 지목하진 않았지만, 중국의 남태평양 진출을 겨냥한 것이다. 특히 백악관은 프랑스 등 유럽연합(EU)도 옵서버 자격으로 논의에 참여했다고 소개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캐나다·독일 등이 PBP에 관심을 표명했다”며 “같은 생각을 가진 파트너들과의 협력은 태평양에서 중국에 대항할 때, 성공할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바라봤다. 백악관은 하반기 중 PBP 외교장관들을 미국으로 초청해 첫 회의를 갖기로 했다. PBP는 앞으로 쿼드처럼 5자 정상회의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

그런가 하면 미국은 6월 29일부터 8월 4일까지 하와이제도와 캘리포니아 인근 해역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해상 합동훈련인 ‘환태평양훈련(RIMPAC)’을 실시하고 있다. 이 훈련에는 한국을 비롯해 26개국에서 함정 48척, 잠수함 4척, 전투기 170대 등과 병력 2만5000명이 참가했다. 이 훈련의 목적도 중국을 견제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 훈련에는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에 인접한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를 비롯해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등도 참가했다. 미 해군은 “모든 영토와 분쟁지역에서 주요 강대국에 의한 공격을 저지하고 격퇴할 수 있도록 연합군의 상호 운용성, 탄력성, 민첩성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태평양에서 벌어지는 미국과 중국의 ‘21세기판 태평양전쟁’이 점입가경이다.

-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truth21c@empas.com

202208호 (2022.07.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