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주최한 취업 설명회에서 탈북자들이 기업 면접에 응하고 있다.시장경제 체험에 나선 탈북자들.서독 정부로부터 환영금을 받기 위해 줄지어 서 있는 동독 이탈 주민.황우여 의원.“도대체, 자릿세가 뭡네까?” “보증금은 왜 내는 겁네까?” “똑같은 시간을 일하는데 왜 월급 차이가 납네까?” “급여에서 세금은 왜 떼간답네까?” 탈북자들이 남한살이를 하면서 겪는 의문들이다. 대한민국 국민이 됐지만 처음 접해 본 시장경제는 모든 것이 낯설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시장경제 교육은 부실하기 짝이 없다. 돈을 벌고 쓰는 기본적인 개념도 알기 전에 경쟁판에 무방비로 내몰린 탈북자들의 홀로 서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렇다 보니 탈북자 열 명 중 네 명 이상이 무직이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탈북자들의 시장경제 교육에 우리 사회가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고 역설한다. 시장경제에 적응하지 못한 채 또 하나의 빈민층으로 내몰리고 있는 탈북자 실태를 「이코노미스트」가 취재했다.
지난달 25일 서울 노원구 공릉동 공릉복지관 앞뜰. 탈북자인 김영순(35·여·가명)씨는 생애 처음으로 ‘장사’라는 것을 해봤다. 그녀는 직접 가판을 꾸미고 두부밥, 두릅냉면, 완자밥, 팡팡이떡(옥수수떡) 등 북한 서민음식을 만들어 팔아 ‘남는 장사’를 했다. 김영순씨는 비로소 “남한에서도 먹고 살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그녀는 이 체험 행사를 준비하면서 “노점을 하는데도 자릿세가 필요하고, 손님이 많이 몰리는 상권에서는 바닥권리금이라는 것을 내야 하는 것”도 알게 됐다. 그녀는 조금씩 대한민국 시장경제를 알아가는 중이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