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불명예 4위 | 대우조선해양] '파도 넘어 파도' 갈 길 먼 정상화 

1만원대 주가 4000원대로 폭락 … 유동성 해결이 급선무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돈줄은 말랐다. 시장은 시계 제로다. 온갖 비리와 부정·추문 의혹으로 검찰 수사는 수위를 높이고 있다. 상장폐지도 거론된다. 사면초가인 대우조선해양은 이 난국을 헤쳐나갈 수 있을까. 지난해 7월 약 5조원의 부실을 감췄다는 사실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회사는 뿌리째 흔들리기 시작했다. 2000년 구조조정 여파로 대우중공업에서 회사 분할 형태로 독립한 대우조선해양은 그해 산업은행을 최대주주(40.82%)로 맞는다. 불행의 시작이었다.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의 밀월관계가 두터워지면서 부실은 더욱 커졌다. 4조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 지원을 했지만 남은 건 빚뿐이었다.

당장 1조3000억원에 달하는 돈을 내년 말까지 갚아야 하는데 돈맥은 꽉 막혀있다. 대우조선해양은 고심 끝에 여러 부동산을 시장에 내놨다. 하지만 매각작업은 순조롭지 않다. 회사 사옥을 팔면 1800억원이 수중에 떨어지지만 '5년 간 임대해 사옥을 쓰겠다'는 단서조항을 단 것이 발목을 잡았다. '임대료를 과연 낼 수 있을까'라는 시장의 의구심을 샀다. 수주를 해서 돈을 벌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지만 시장은 경색 상태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수주량은 129척에 달했는데 올 들어 수주 물량은 27척에 그쳤다. 1년 새 무려 85.4%나 곤두박질한 셈이다.

미래도 밝지 않다. 최근 금융개혁추진위원회가 "파산 시 발생할 파급효과를 감안해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결정했지만 상황이 녹록하지 않다. 부실을 숨겨왔던 전력 때문에 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돈을 대주기도 쉽지 않다. 회사 매각이 또 다른 방안으로 거론되긴 하지만 가능성이 작기는 마찬가지다. 직원 수만 4만3000명에 달할 정도로 몸집이 커 쉽사리 새 주인을 찾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월 1만원대였던 회사 주가는 6월 말 기준 4480원에서 멈춰있다. 지난 7월 주식 거래가 정지됐기 때문이다. 시장은 대우조선해양의 거래정지 상태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 상장 적격성 심사가 3단계에 걸쳐 있는데다, 실제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메리츠증권은 "올해 말까지 부채비율을 800% 이하로 낮추려면 1조7000억원 이상의 출자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자본 확충은 존속을 위한 필수과제"라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현재까지 약 9000억원의 자구계획을 완료했다"며 "유동성 해결을 위해 선주들과 협의해 선박 건조 대금 일부를 조기에 수령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1352호 (2016.09.26)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