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20조원 유엔 조달 한 축 그레테 파레모 UNOPS 사무총장] “신기술로 지속가능발전 전략 이룰 것” 

 

한국의 민간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 “친환경 등 사회 문제 해결에 집중할 것”

▎그레테 파레모 UNOPS 사무총장은 신기술 도입으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전략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한국 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사진:전민규 기자
국제연합(UN·유엔)의 연간 조달 규모는 20조원에 달한다. 대부분 국제 안보와 말라리아·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등 질병 치료, 학교·도로·에너지 등 사회간접자본(SOC) 구축 등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해 쓰인다. 유엔은 국가 간 협의체로서 세계의 지속가능발전(SDGs)을 위해 많은 인도적 지원을 펼친다. 그러나 자체 생산 능력은 없다. 이 때문에 동남아시아·아프리카 등지 개도국에 자원·보급품을 보내려면 선진국들로부터 조달해와야 하는 입장이다.

유엔의 직원·조달·본부기구 등 배정은 대부분 분담금 납입 비율에 따라 결정한다. 분담금은 국가별 국내총생산(GDP)에 따라 미국과 중국·독일·영국·프랑스 등 순으로 많이 낸다. 한국은 11위로 전체 분담금의 2%를 맡고 있다. 그러나 유엔의 전체 조달 실적의 0.85% 밖에 따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유엔 조달 시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 장벽 때문에 기업들이 도전할 엄두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기류가 달라지고 있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정보통신기술(ICT) 등 신기술의 등장으로 과거보다 쉬운 방식으로 개도국 문제를 해결할 길이 열려서다.

학교·병원을 늘리기보다는 원격 학습·의료를 보급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도 이전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유엔은 과거의 조달 방식에 집착하지 않고, 신기술을 가진 기업을 폭넓게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신기술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한국에도 기회가 찾아온 셈이다. 이에 ‘유엔프로젝트조달기구’(UNOPS)의 그레테 파레모(Grete Faremo) 사무총장을 만났다. 파레모 총장은 STS&P 주최로 10월 21~23일 수원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스마트 기술 및 조달 전시회·콘퍼런스’ 참석차 한국을 찾았다. 파레모 총장은 “유엔은 앞선 기술로 지속가능발전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민간 기업은 수익을 창출하는 윈윈의 길을 걷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제사회에서 UNOPS의 역할은 무엇인가.

“개도국에서 연간 1000여 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비영리 유엔 산하 기구다. 한국에서는 한국 정부와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과 협력하고 있다. 물론 중국·일본과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이슬람개발은행과도 협업하고 있다. 원조 사업은 아프가니스탄·필리핀·미얀마·몽골에서 펼치고 있다. 주로 도로·의료기관 등 사회간접자본(SOC)을 짓고 있다. 자원 솔루션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인프라도 마련 중이다. 이 밖에 여러 민간 기업들에 개도국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을 방문한 계기는.

“한국은 언제나 뜨겁고 자유로우며, 빠르고 소득 수준도 높은 나라다. 좋은 기술을 가진 창업자가 많다. 한국은 과거 도움을 받는 나라였지만 이제는 세계 사회에 많은 공헌을 할 수 있는 위치로 성장했다. 한국은 유엔이 17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밝혔을 때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국가적으로 성차별·어린이·에너지 문제 등을 개선하고 실천할 능력이 있다.”

어떤 민간 기관과 협력하고 있나.

“누구와도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 우선 코이카와 함께 일하게 돼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한국과 협력하게 돼 기쁘다. 기부 등 문제에서 정부와 중립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신기술 도입 방향과 스마트 솔루션, 대중이 원하는 방향의 기술, 권한 등 문제를 협의 중이다.”

“어떤 신기술이라도 환영”

한국에서 UNOPS 사무소는 언제 여나.

“현재 사무소 개설을 두고 외교부와 대화 중이며, 정부 측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면 개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민간 기업과의 협력은 중요한 과제다. 친환경과 운송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다. 민간 기업은 사업을 통해 이득을 챙길 수 있다. 외부 기관의 기부 등을 통해 재정적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현재 한국에 기대하고 있는 기술 분야가 있나.

“제한을 두지 않고 폭넓게 보고 있다. AI든 IoT든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신기술은 규정하기 어렵지만, 큰 가능성과 잠재력이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신기술은 많은 국가에 이익을 줄 것이다. 혁신 기업이라면 많이 지원해주길 바란다.”

개도국의 부패 거버넌스를 해결하지 않는 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은 한계가 있지 않나.

“중재 기관으로서 부패 거버넌스 문제에 자주 부딪힌다. 기부자의 기여가 (관료 등의) 부패로 다른 곳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UNOPS는 아주 강한 재정 관리와 투명한 경쟁, 현지 직원 교육 및 관리 등 체계적인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 이런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하고 있다. 각국 정부가 우리와 일을 하려는 것도 이런 관리 시스템 때문이다. 시스템은 앞으로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 영향으로 기부 등에 드는 돈을 더욱 절약할 수 있고, 배송 등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미얀마·캄보디아에서는 말라리아·에이즈를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파트너십을 확보하고 있다.”

한때 부패 문제 방지를 위해 블록체인을 염두에 두지 않았나.

“UNOPS가 국제기구 내에서 블록체인 이슈를 리드한 것은 사실이다. 블록체인에 대한 규정이 필요했고, 금융·부동산 등 여러 분야에서 기회를 포착했다. 다만 이 기술은 신중히 접근해야 하며, 더 많은 파트너와 함께 협력해야 한다. 우리가 원한다고 무조건 되는 일은 아니다.”

“투명·경쟁 운영 체제로 자국 우선주의 극복 가능”

세계적 자국 우선주의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전략에 걸림돌 아닌가.

“중요한 점은 투명한 전략의 실행이다. 우리는 개방형 경쟁체제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인 협력이 필요할 때 각국 정부나 기관과 구체적 프로젝트 체계를 맞춰 진행하고 있다. 특정 프로젝트의 시행과 개방된 경쟁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 정부와 기업에 바라는 점은.

“UNOPS는 정보와 시스템이 있다. 국제사회에 기여하고픈 기업들을 돕는 한편 언어적 도전을 극복할 것이다. UNOPS는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준비가 돼 있다. 현재 글로벌 80개 국가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고 한국도 그중 하나가 될 것이다. 기술과 기부를 통한 세상의 변화를 안전하고 가장 강력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김유경 기자 neo3@joongang.co.kr

1507호 (2019.11.04)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