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철도를 놓은 건 역마차 주인이 아니다 

 

‘뭘 좀 아는 사람’보다 때로는 ‘잘 모르는 사람’이 진보와 혁신의 수레바퀴를 굴리는 경우가 많다. 현대문명과 산업의 발달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들은 기업가, 특히 창업가일 확률이 높다.
철도 위의 짐차는 원래 말이 끌었다. 지금은 상상할 수 없겠지만, 초기 선로는 역과 역 사이를 오가는 역마차를 위해 마련된 시설이었다. 증기기관이 상업화되던 리젠시 시대(18세기 말~19세기 초) 사람들은 철도 위의 짐차는 말이 끄는 게 당연하다고 여겼다.

초기 증기기관은 기관차 엔진으로 사용하기에는 효율이 너무 낮았다. 조지 스티븐슨이 제대로 된 고효율 기관을 개발한 후에야 기관차 엔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는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 특허를 등록(1769년)하고 40년이나 흐른 후였다. 인프라(철도)가 깔린 목적(역마차 운용)과 시점(증기기관차 도입 이전) 모두,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보급된 때와 차이가 있었다. 그렇기에 열차라는 효율적인 운송 체계는 후대의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천천히 보급됐다.

하지만 증기기관차가 도입되고 10년이 채 지나기 전에 대부분의 역마차 운영 회사는 도산을 맞았다. 오랜 기간 운송업을 해온 업계 베테랑인 역마차 사업주는 왜 이런 기술 변화에 대응하지 못했을까?

기술 도입 초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역마차 사업주 입장에서는 숙련된 말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었다. 하지만 이들이 간과한 게 있다. 사업 확장에서 기존 기술인 말을 활용해서 얻는 편익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증기기관차를 활용했을 때의 편익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었다. 기술의 효용을 과소평가했다고 이들을 탓할 수는 없다. 산업혁명 이전의 인류는 늘 점진적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기하급수적인 발전은 감히 상상하지 못했으리라.

점진적 진보의 연속이던 수천 년 전과 비교해보면 기하급수적 혁신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지는 불과 기백 년이다.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이 여전히 이런 변화를 잘 인지하지 못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철도 위의 짐차를 말이 끌고 있는 일’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해온 무언가는 -그게 무엇이든- 조만간 조금도 당연하지 않은 일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모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이는 그 산업 밖에 있어서 ‘뭘 좀 모르는 사람’일 테다.


뭘 좀 모르는 사람이 철도 위의 짐차를 말이 끌고 있는 일을 이상하게 여기고는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고 시도하고 실패했다. 하지만 다시 도전해 결국은 해내고 마는 사람들이 세상을 진보시켜왔고, 우리는 이들을 창업가라고 부른다. 결국 창업가가 많은 사회가 더 빨리 진보하고 발전하는 법이다.

-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

202203호 (2022.02.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