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정태남의 TRAVEL & CULTURE | 스페인 그라나다(Granada) 

스페인 국토 회복과 신대륙 발견 430주년 

430년 전인 1492년은 스페인의 기독교 세력이 이베리아반도의 마지막 이슬람 거점이던 그라나다를 점령함으로써 기나긴 레콩키스타(Reconquista), 즉 국토 회복 전쟁을 완수한 해이자 신대륙을 발견한 해이다. 서양 역사의 흐름을 완전히 바꾸어놓은 이 두 사건의 주역은 각각 이사벨 여왕과 콜럼버스였다.

▎이베리아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의 마지막 보루였던 알함브라. / 사진:정태남



10월 12일은 스페인 최대의 국경일이다. 이날과 관련된 인물이 있다. 그는 이탈리아 제노바 태생의 항해사로, 이탈리아 본명은 크리스토포로 콜롬보(Cristoforo Colombo). 생몰연대는 1451~1506년이다. 그의 이름은 라틴어로는 크리스토포루스 콜룸부스(Christophorus Columbus)이고 영어로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이다. 스페인에서는 크리스토발 콜론(Cristóbal Colón)이라고 한다. 즉, 10월 12일은 ‘콜럼버스의 날’인데 다름 아닌 콜럼버스가 신대륙에 첫발을 내디딘 날이다. 그해가 바로 430년 전인 1492년이었다.

그뿐 아니다. 1492년은 스페인이 국토 회복을 완수한 해이다.

스페인 역사를 바꾼 1492년


▎프란시스코 프라디야 오르티스의 [그라나다의 항복]. / 사진:정태남
먼저 [그라나다의 항복]을 보자. 이 그림을 그린 스페인 화가의 이름은 프란시스코 프라디야 오르티스(1848~1921)이다. 한때 로마 주재 스페인아카데미 원장과 마드리드의 프라도미술관 관장을 역임한 그는 1000점 넘는 작품을 남겼는데 그중에서 1882년에 그린 이 그림이 가장 유명하다. 이 유화 작품은 세로 330㎝, 가로 550㎝나 되는 대작으로, 현재 스페인 상원 의사당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1492년 1월 2일, 그라나다 성곽 안으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그라나다 왕국의 마지막 왕 무함마드 12세, 일명 ‘보압딜’이 이사벨 여왕과 페르난도 왕에게 그라나다 시(市)열쇠를 건네는 장면을 담고 있다. 이 장면 뒤 멀리 언덕 위에 세워진 성채는 알함브라(Alhambra)이다. ‘h’가 묵음인 스페인식 발음으로는 ‘알람브라’이다. 알함브라는 유럽에 세워진 이슬람 건축의 백미로 손꼽힌다.

‘알함브라’는 원래 ‘붉은’이란 뜻의 아랍어 알-함라(Al-Hamra)에서 따온 이름인데, 불그스름한 외관 건축재료 색깔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알함브라는 크게 군사용 요새인 알카사르(Alcazar), 왕의 공적(公的) 공간과 사적(私的) 공간으로 이루어진 나스르(Nasr) 궁전, 바로 그 옆에 세워진 카를로스 5세 궁전, 건너편 산 중턱에 세워진 왕의 여름 별장 헤네랄리페로 이루어져 있다.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으로 세워진 카를로스 5세 궁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13~14세기에 걸쳐 세워졌다.

그렇다면 1492년 이전까지의 스페인 역사는 어떻게 흘러왔을까? 까마득한 옛날 이베리아반도는 카르타고의 식민지였다가 기원전 3세기에 카르타고가 로마에 패한 후에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 이 속주의 이름이 히스파니아(Hispania)이다. 그 후 로마제국의 국운이 기울어져가던 기원후 5세기에는 게르만족의 일파인 서고트족이 이탈리아반도를 침공하여 분탕질을 한 다음 히스파니아로 건너와 왕국을 세웠다. 그 후 711년에는 북부 아프리카의 이슬람 세력이 바다를 건너와 이베리아반도로 침입하여 서고트 왕국을 무너뜨렸는데, 이들은 불과 몇 년 만에 이베리아반도를 석권하다시피 했다. 북쪽으로 쫓겨난 이베리아반도의 주민들은 그곳에서 작은 왕국 여러 개를 건설하고는 기독교 깃발을 내걸고 이슬람 세력을 이베리아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내기 위해 길고 긴 레콩키스타(Reconquista), 즉 ‘국토 회복 전쟁’에 돌입했다.


▎알함브라의 군사용 요새였던 알카사르. / 사진:정태남
카스티야 왕국이 주축을 이룬 기독교 세력은 남진하면서 이슬람 세력을 물리치기 시작했다. 이베리아반도에 마지막으로 남은 이슬람 통치 지역은 그라나다 토후국뿐이었다. 기독교 세력이 1236년에 그라나다 토후국의 주요 도시 코르도바를 점령하자 나스르 왕조의 그라나다는 카스티야 왕국에 조공을 바치기로 하고 250년간 보호국으로 남게 되는데 이때 알함브라가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라나다에서 알함브라가 화려하게 가꾸어져가던 1469년, 18세였던 카스티야 왕국의 공주 이사벨과 17세였던 아라곤 왕국의 왕자 페르난도가 결혼하며 왕국은 힘을 합쳤다. 마침내 통합된 왕국의 통치자가 된 이 두 왕은 그라나다를 아예 합병하기 위해 1482년에 공격을 개시했다. 페르난도 왕은 전방에서 전투를 지휘했고 이사벨 여왕은 특유의 탁월한 조직력과 전술 및 전략 능력을 발휘했다. 치열한 공방전 끝에 그라나다를 1491년에 완전히 포위하자 이슬람 왕 보압딜은 그해 11월 25일에 항복 조건을 담은 ‘그라나다 협정’에 서명했다. 기독교 승리자는 이 협정에서 이곳에 거주하는 무슬림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고는 마침내 1492년 1월 2일에 그라나다를 공식적으로 접수하여 국토 회복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 이리하여 ‘히스파니아’에서 발음이 변형된 ‘에스파냐(España)’가 역사상 처음으로 공식 국명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에스파냐의 영어명이 스페인(Spain)이다. 한편 나스르 왕조의 마지막 왕 보압딜은 북아프리카의 모로코로 쫓겨가면서 멀리서 알함브라를 뒤돌아보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사벨 여왕과 콜럼버스


▎이사벨 라 카톨리카 광장에 세워진 콜럼버스를 접견하는 이사벨 여왕 기념상. / 사진:정태남
그라나다의 기독교 지역에 있는 이사벨 라 카톨리카(Isabel La Catolica) 광장에서는 콜럼버스를 접견하는 이사벨 여왕 기념상을 볼 수 있다. 아프리카 대륙의 남단을 돌아 인디아로 가는 것보다는 대서양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가면 항로가 짧아질 것이라고 굳게 믿고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려던 콜럼버스는 당시 최고의 해양대국이었던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으려 했으나 거부당하자 발길을 돌려 스페인을 찾아와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페르난도 왕은 코웃음을 쳤지만 이사벨 여왕은 그의 계획에 귀를 기울이고는 그의 모험을 전폭 지원했다. 이리하여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3일 스페인 남부의 팔로스항을 출항하여 망망대해를 기약 없이 서쪽으로 항해하다가 70여 일 만인 10월 12일에 신세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사벨 여왕이 콜럼버스에 건 과감한 ‘투자’의 결실 덕분에 스페인은 초강대국이 되어 황금시대를 맞게 되었고 이에 따라 세계사는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급물살을 탔다.


▎이슬람 사원 자리에 세워진 그라나다 대성당. / 사진:정태남
그런데 스페인 전역을 그리스도에게 바치고자 했던 이사벨 여왕은 곧 그라나다 협정을 뒤엎고 모든 무슬림과 유대교도는 기독교로 개종하든가 그렇지 않으면 스페인을 떠나야 한다고 공포했다. 또 종교재판소를 만들어 이교도들을 탄압하고 스페인 전역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기 시작했다. 당시 유럽에서 이사벨 여왕만큼 카톨릭 신앙에 광적으로 빠진 군주는 없었다. 이에 스페인 보르자 가문 출신의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1496년에 이 두 왕에게 ‘카톨릭 수호자’를 의미하는 칭호를 주었다. 이리하여 스페인어로 두 부부 왕을 지칭할 때는 ‘카톨릭 왕들’이란 뜻으로 ‘레예스 카톨리코스(Reyes catoliscos)’라 하고 이사벨 여왕만 지칭할 때는 ‘이사벨 라 카톨리카(Isabel La Catolica)’라고 한다.

이사벨 여왕은 1504년 53세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그녀는 스페인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왕으로 손꼽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무자비하게 자행했던 종교재판은 그녀의 생애에 큰 오점이 되었다. 비록 결과적으로는 그것이 스페인을 통합하고 분열을 막아주었지만.

한편 이슬람 세력의 마지막 보루였던 알함브라는 그라나다 함락 이후에 한동안 스페인 왕의 거처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파괴되는 운명은 피했다. 하지만 그라나다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던 이슬람 사원은 파괴되었고 그 자리에 장려한 그라나다 대성당이 세워졌다. 기독교의 승리를 만방에 보여주려는 듯한 이 대성당의 왕실 예배당에는 이사벨 여왕과 페르난도 왕의 관이 안장되어 있다.


▎그라나다 대성당 안에 있는 페르난도 왕과 이사벨 여왕의 형상. / 사진:정태남
※ 정태남은… 이탈리아 공인건축사, 작가 정태남은 서울대 졸업 후 이탈리아 정부장학생으로 유학, 로마대학교에서 건축부문 학위를 받았으며, 이탈리아 대통령으로부터 기사훈장을 받았다. 건축분야 외에도 미술, 음악, 역사, 언어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들며 로마를 중심으로 30년 이상 유럽에서 활동했다. 저서로는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 『동유럽 문화도시기행』, 『유럽에서 클래식을 만나다』 외에 여러 권이 있다.(culturebox@naver.com)

202210호 (2022.09.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