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센트럴파크의 동쪽이든 서쪽이든 저녁에 산책하다 보면 한 가지 특이한 점이 눈에 띈다. 새 아파트 건물에 거의 불이 꺼져 있다는 사실이다. 아무도 살지 않기 때문이다. 세계 각지의 매력적인 도시에 빈 고급 아파트들이 그림자를 드리운다. 마이애미·샌프란시스코·밴쿠버·브리티시컬럼비아·호놀룰루·홍콩·상하이·싱가포르·두바이·파리·멜번·런던 등의 도시에서 세계의 부호들이 거주 목적이 아니라 이재 수단으로 호화 주택을 구입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파리에선 아파트 4채 중 1채는 항상 비어 있다.
이들 갑부 부동산 투자자 중에는 신분의 상징을 원하는 사람도 있지만 투자 목적인 사람도 있다. 불안정한 나라의 재력가나 사업이 불안정한 사람들에게 외국 부동산 소유는 개인적인 보험 역할을 한다. 어느 쪽이든 세계적으로 임금 인상이 정체된 상황에서 고급 주택 수요 증가는 부의 집중에 따르는 몇몇 부작용을 보여준다. 이들 궁전 같은 아파트와 주택에 사람이 거의 살지 않기 때문에 드러나지 않는 일단의 비용을 현지 주민이 떠안아야 한다. 임대료 상승, 출퇴근 시간 연장, 쇼핑장소의 감소 등이다. 대표적으로 뉴욕 등 일부 도시에선 주민이 부재 소유주들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셈이나 다름없다. 세계 1% 부자들에게 밀려 현지 주민이 쫓겨나자 샌프란시스코·상하이·밴쿠버·뉴욕 등지의 정치 지도자들이 나섰다. 상대적으로 소수의 부자가 도시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이다. 싱가포르와 홍콩 당국자들은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소유주 부재 고급 주택의 확산을 막으려 노력한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