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보석은 빛날까요?” “빛나는 건 보석뿐 아냐. 주희 머리칼에도 보석이 맺혔어.” 누군가를 사랑할 때 머릿속이 백짓장처럼 하얗게 되는 날이 있다. 오골오골한 대화가 오가고, 행동도 유치해진다. 촉각은 예민해져 상대방의 말 한마디에 기분은 천당과 지옥을 오간다. 소위 말하는 ‘심쿵(심장이 쿵쿵뛴다는 뜻의 신조어)’한 시절은 누구에게나 있다.
순정소설(純情小說)이라는 장르가 있다. ‘순수한 감정이나 애정을 담은 소설’쯤 된다. 주인공들은 바보같은 사랑을 하고, 사랑 때문에 힘들어 하고, 고통받는다. 1970~1980년대는 순정소설의 전성기였다. 순수한 두사람의 사랑을 가로막는 것은 죽음이었다. 눈밭에서 두 주인공이 쓰러지는 영화 [러브스토리]가 대표적이다. 순정소설은 세대를 초월해 폭넓게 사랑을 받았다. 하지만 어느 때부턴가 순정소설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갈수록 계산적이 되어가는 세태. 순수한 사랑을 찾는 것은 무모하기 때문일까.
1978년 발표된 한수산의 [바다로 간 목마]는 그 시절 최고의 순정소설이었다. ‘사랑의 뜻이 더럽혀진 시대에 그 참뜻을 찬란히 일깨울 순애의 연가’. 1980년에 제작된 동명의 영화 포스터에는 이런 카피가 씌여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유신독재, 노동문제 등이 얽혀있던 1970년대 말. 그래도 사람들은 낭만을 찾고 순수를 찾았다. 한수산은 작가의 말을 통해 ‘왜 보석은 빛날까요?’라고 묻게 되는 나이, 그 나이의 사람들을 위하여 이 책은 씌여졌다’고 말한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