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CHECK! REPORT 

 

정리=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
현대경제연구원 | 방탄소년단 경제효과 연간 5조6000억원


세계적 인기를 얻고 있는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BTS)의 국내 경제적 효과가 한 해 5조600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방탄소년단(BTS)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이 연간 평균 창출한 국내 생산유발효과는 4조14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조420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2016년 중견기업 평균 매출액(1591억7000만원)과 비교해보면 방탄소년단의 생산유발효과는 중소기업의 26배, 부가가치유발효과는 8.9배나 된다.


연구원은 방탄소년단의 인기를 계량화하기 위해 구글트렌드와 회귀분석, 산업연관분석 등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했다. 그 결과 방탄소년단의 인지도 상승은 외국인 관광객 수와 소비재 수출액을 늘리는 효과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이 데뷔한 2013년 이후 방탄소년단을 찾아 한국에 온 외국인 관광객은 연평균 79만6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해 기준 관광 목적으로 국내를 방문한 외국인 입국인 수(1041만6000명)의 약 7.6%에 달했다. 이 기간 방탄소년단 관련 의복류 수출은 2억3398만 달러, 화장품은 4억 2664만 달러, 음식류는 4억5649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의복류·화장품·음식류 수출액은 지난해 전체 소비재 수출의 1.7% 수준이다.

방탄소년단 인지도가 1%포인트 증가할 때 3개월 후 외국인 관광객 증가율은 0.45%포인트 상승했다. 의복류 수출 증가율도 0.18%포인트, 화장품 0.72%포인트, 음식류 0.45%포인트 상승 효과가 빚어졌다. 방탄소년단 관련 공식 광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노출된 소비재를 외국인들이 더 많이 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방탄소년단이 앞으로 5년 간 인기를 더 유지할 경우 2023년까지 유발되는 생산유발효과는 총 41조8600억원, 14조3000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민 현대연 연구위원은 “국내 문화의 해외 소비가 국내 경제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재화와 관광상품의 경쟁력 제고와 연계 상품 개발이 필요하고, 문화수출이 상품수출로 이어질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경제포럼(WEF) | 한국의 성평등 149개국 중 115위


한국의 성평등 격차는 여전히 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8’에 따르면 한국은 글로벌 지수 순위에서 149개국 중 115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순위 118위와 큰 차이가 없었다. 한국의 성 격차 지수는 0.657로, 중국(0.673)과 일본(0.662)은 물론 인도(0.665)보다도 낮았다. 해당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이 이뤄지고 있는 국가를 뜻한다. WEF는 지난 2006년부터 경제 참여·기회, 교육 성과, 보건, 정치 권한 등 주요 4개 부문에서 국가별 성별 격차를 수치화해 매년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젠더 격차가 가장 작은 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아이슬란드가(0.858) 1위를 차지했다. 노르웨이(0.835)·스웨덴(0.822)이 뒤를 이었다. 아시아에서는 필리핀이 8위(0.799)로 가장 높았다. 한국은 올해도 경제 참여·기회 부문(0.549), 정치 권한(0.134) 부문에서 낮은 평등 지수를 기록, 각각 124위, 92위에 순위를 올렸다. 경제 참여·기회 부문에서 남녀 임금 평등 지수는 0.532로 세계 평균 0.632를 한참 밑돌았다. 추정 근로 소득(구매력 기준) 수준은 남성이 5만2590달러를 기록했지만, 여성은 절반 수준인 2만4054달러에 그쳤다. 정치 권한 부문에서도 한국 여성 의원 비율은 102위, 여성 각료 비율은 119위 등 하위권에 머물렀다. 교육 부문은 초·중등 교육 기회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지만, 고교 졸업 후 3차 교육 평등은 지난해보다 한 계단 내려간 113위에 머무렀다. 보건 부문에서도 기대수명 평등은 지난해처럼 1위를 차지했으나, 출생 남녀 성비 불균형은 137위로 지난해(132위)보다 악화됐다.

중소기업중앙회 | 내년 중소기업 체감경기 2년 전으로 회귀


국내 중소기업들은 내년 경기가 올해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3003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내년 중소기업 경기 전망과 경영환경 조사’에서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SBHI)가 83.2로 전년보다 9.5포인트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는 2년 전(83.1)으로 회귀한 수치다. 중소기업인들은 2019년 국내 경제성장률을 2.5%로 전망했는데, 이는 국제통화기금(IMF)(2.7%)·무디스(2.3%)·한국은행(2.7%) 등 국내외 기관의 전망치를 산술평균(2.57%)한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내년 국내 경제에 대해서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4.3%로 가장 높았다. 반면 나빠질 것이라는 비관적 응답률은 39.0%로,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률 6.6%에 불과했다. 국내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그 요인에 대해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급격한 경제정책’(65.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기업규제 및 기업부담 가중정책’(63.0%), ‘미중 무역전쟁 영향’(29.5%) 등의 순으로 답변했다. 중소기업계는 2019년 새해 경영목표로 ‘적정이윤 확보 등 내실경영’(67.8%)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생존우선·투자축소 등 보수적 경영’(18.7%), ‘투자확대·해외진출 등 공격적 경영’(7.5%), ‘신사업·신기술 도입 등 혁신경영’(5.9%) 순으로 응답했다. 2019년 예상되는 경영애로로 과반수 이상이 ‘내수부진’(57.9%)과 ‘인건비 상승’(52.5%), ‘업체 간 과당 경쟁’(29.5%), ‘근로시간 단축’(1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성장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으로는 ‘내수활성화 정책’(66.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노동현안 제도화 속도 조절’(47.0%), ‘운영자금 등 적극적 금융세제 지원’(44.5%), ‘중소기업 인력 수급난 해소’(18.0%), ‘금리 및 환율 안정’(1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 11월 주택매매 전년보다 13.8% 줄어


서울 주택매매 거래량이 지난해보다 20% 넘게 줄었다. 세금을 올리고 주택담보대출을 막는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이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1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4804건으로 1년 전인 2017년 11월(7만5148건)과 비교해 13.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년 평균 매매거래량인 9만366건과 비교하면 28.3%나 줄어든 것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거래량(3만2921건)이 지난해 대비 12.3% 줄었다. 이 중 서울은 9324건으로 22.6%, 지방(3만1883건)은 15.2% 감소했다. 올 들어 누계 주택 매매거래도 80만538건으로 전년 동기(87만5458건)보다 8.6% 줄었다. 1~11월 누적 주택 매매거래량은 2015년 110만6000건에서 2016년 96만4000건, 지난해 87만5000건 등으로 감소세다. 11월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 동월 대비 13.7% 줄어든 4만1663건, 연립·다세대 주택(1만3659건)과 단독·다가구주택(9만 9482건)도 각각 11.2%와 17.4% 줄었다. 반면 전·월세 거래는 늘었다. 주택 가격이 급등하고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책이 잇따르자, 주택을 구매하는 대신 빌려 거주하는 수요가 많아진 때문이다. 올해 1~11월 누계 전·월세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168만8000만건으로 최근 5년간 최대 규모다. 전월세 누계 거래량은 2014년 148만9000여건에서 2015년 150만1000여건, 2016년 152만 1000여건, 지난해 154만7000여건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 | 중·장년층 55% 은행 빚 있어


만 40∼64세 중·장년층의 55%가 금융권에 갚을 빚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 등 비임금 노동자의 금융권 대출 규모가 임금 노동자보다 더 많았고, 주택 소유자의 대출은 무주택자의 4배에 달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기준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금융권 가계대출(제3금융권 제외)을 보유한 중장년층은 55.2%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증가했다. 중장년 대출 잔액의 중앙값은 3911만원이었다. 전년(3633만원)보다 7.7% 증가했다. 가계대출 잔액별로 보면 1000만∼3000만원 미만 비중이 24.3%로 가장 많았고 1000만원 미만(19.3%)이 뒤를 이었다. 대출 잔액의 중앙값은 남자(4607만원)가 여자(3000만원)의 1.5배 많았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을 1채라도 소유한 중장년 인구는 812만8000명으로 전체(1966만4000명)의 41.3%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보다 0.6%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주택소유 물건 수는 1건(34.1%)이 제일 많았고, 2건 5.6%, 3건 이상 1.6% 순이었다. 자영업자 등 비임금 노동자의 주택 소유 비중은 50.2%로 임금노동자(46.1%)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이 보유한 주택을 공시가격(올해 1월 1일 기준)별로 보면 6000만원 초과∼1억5000만원 이하 비중이 35.1%로 가장 많았고 1억5000만∼3억원(31.0%), 6000만원 이하(15.3%)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3억원 이하 주택소유 비중(81.4%)은 1.7%포인트 하락했고, 3억원 초과 비중(18.6%)은 1.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년간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중장년은 전체의 73.2%(1438만7000명)로 전년보다 1.3% 포인트 상승했다. 소득이 있는 중장년의 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4.0% 늘어난 3349만원이었다. 구간별로는 1000만∼3000만원 미만이 33.5%로 가장 많았고, 1000만원 미만이 30.2%였다.

1465호 (2018.12.31)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