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코로나19가 부른 원격진료] 21년째 ‘시범사업’ 원격의료, 이번엔 첫발 뗄까 

 

기술은 승리한다. 19세기 영국은 청나라와의 아편전쟁에서 승리했고, 미국은 일본을 강제 개항했다. 문명화된 국가가 세계 질서를 주도하며, 괴리된 사회는 이에 종속된다는 것이 역사의 가르침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많은 것이 바뀌고 있다. 사람들은 외식보단 배달을, 여행보단 영화·게임을 즐기고 있다. 국가들은 글로벌 공급 사슬을 불신하고 있으며, 인종·국가 간 갈등도 첨예해지고 있다. 언택트(비대면)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관측 속에 온라인 기술이 속속 우리 생활 속에 자리 잡기 시작했다.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 역시 치열하다. 의료 행위 역시 변화하고 있다. 대규모 집단 감염에 대응하기엔 의료진이 턱없이 모자라며, 자칫 병원이 전염병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최근 원격의료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원격의료 도입을 더는 지체할 수 없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 가운데 자칫 의료 영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원격의료를 추진하기 위해 의료계의 협조를 얻어야 하는 정부로서도 설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원격의료를 둘러싼 찬반 입장과 갈등 원인, 세계 동향 등을 살펴보고 건설적 해법은 무엇인지 모색했다.

▎사진:© gettyimagesbank
- 이코노미스트 편집부

1538호 (2020.06.15)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