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북한.국제

Home>월간중앙>정치.사회.북한.국제

[총선특집 | 화제 당선인] 김장겸 국민의미래 당선인 

“공영방송, 국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김태욱 월간중앙 기자
“등원하면 공영방송의 편파·왜곡·조작보도에 비판 목소리 높일 것”
“방송법, 이념과 정치진영 논리가 아닌 산업적 측면에서 바라봐야”


▎김장겸 국민의미래 당선인은 “우수한 K콘텐트가 국부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방송 산업 전반을 손보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장겸 국민의미래 당선인은 4월 11일 이른 오전 당선이 확정됐다. 월간중앙이 김 당선인과 만난 4월 13일은 당선증을 받은 다음날이었다. 국회 입성에 대한 기쁨으로 가득찬 눈을 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아니었다. 당선 소감을 묻자 “마음이 무겁다”는 답이 돌아왔다. 무거운 마음에도 김 당선인은 특유의 차분함을 잃지 않은 채 공영방송의 정상화와 국내 OTT 플랫폼 활성화 청사진을 그려나갔다.

당선 소감은?

“기쁘다고 할 수는 없다. 엄혹한 상황에서 어찌 기쁘겠는가. 전혀 기쁘지 않다.”

여당의 총선 패배 때문인가?

“그렇다. 언론의 자유 확대, 국내 콘텐트 지원 등이 다소 어려워진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발의하고 싶은 법안이 있다면 무엇인가?

“현 방송법은 시대와 안 맞다. 세계적인 흐름과도 동떨어져 있다. OTT 시대가 도래했는데, 방송법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 당장 OTT는 방송법 울타리 밖에 있다. 또 지상파의 비대칭 규제도 심각하다. 방송법은 이념과 정치의 문제가 아니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

“세계적으로 K콘텐트가 우수한 평가를 받음에도 방송이나 국내 OTT 플랫폼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우수한 K콘텐트가 국부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방송 산업 전반을 손보는 게 시급하단 의미다. 국내 OTT인 티빙과 웨이브가 지난해 말 합병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나 여전히 토종 OTT 플랫폼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이다. 우려스럽다.”

MBC, 진보 진영이 생각하는 ‘공정’만 대변

가장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거대 야당이 21대 국회에서 일방통과시켰지만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 무산된 이른바 ‘방송 영구 장악법’을 또 추진할 것 같다. 또 양문석 민주당 당선자가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1호 법안으로 내걸었다. 우리 여당은 언론자유 위축 우려로 징벌적 손해배상제에 반대한다. 사실 언론 노조도 징벌적 손해배상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진보 진영 내에서도 갈등이 있을 것 같다.”

김 당선인은 앞서 인터뷰에서 기계적 중립을 통해 언론의 자유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기계적 중립이 완벽한 정답은 아니다. 차선책으론 적합하다. 한 가지는 확실하다. 앞서 언급한 대로 언론의 자유는 절대 침해돼서는 안 된다. 다양한 목소리가 전파를 타야 한다는 신념으로 30년 기자 생활을 했다. 각자가 생각하는 공정의 정의가 다를 수 있다. 이를 존중해야 한다. 특히 국민의 재산인 공영방송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오늘날 공영방송의 보도를 평가한다면?

“공정은 물론, 기계적 중립도 찾아보기 어렵다. 오늘날 공영방송, 특히 MBC는 진보 진영이 생각하는 ‘공정’만 대변했다. 국민의 절반을 위한 방송으로 전락한 셈이다. 지방 MBC도 상황은 비슷하다. MBC 경남은 투표 당일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의 정혜경 후보가 경남 출신이라는 점을 소개하며 “경남의 국회의원 수가 17명으로 사실상 한 명 더 늘어나는 셈”이라고 보도했다. 나도 경남 출신이다. 그러면 ‘국민의미래 김장겸 후보’도 함께 보도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 노골적인 편파 방송이다. 이 밖에 부산 MBC는 윤 대통령의 이달 초 부산 신항 방문을 비판했다. 4년 전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가덕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가슴이 뛴다”고 이야기했을 때 부산MBC는 전혀 비판하지 않았다. 논조의 차이가 생긴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사례가 본사와 계열사에서 수없이 많았다.”

“최소한 기계적인 중립은 지켜야”

이를 바로잡기 위한 묘책이 있다면?

“여소야대 국면에서 여당이 입법을 통해 바로잡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대신 공영방송의 편파·왜곡·조작 보도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높이고 공영방송 내부에서 억압받는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국민께 알려드리면 많은 변화가 생길 것으로 믿는다. MBC 대표이사직에서 내려온 직후 몇몇 후배들에게 생긴 일은 지금 생각해도 마음 아프다. 옛 중앙정보부 취조실에서 생길 만한 일이 MBC에서 일어났다. MBC는 내가 대표이사직에서 내려온 직후 ‘정상화위원회’를 꾸려 기자들을 조사했다. 가령 ‘김장겸 사장이 특정 업무를 지시한 적 있는가’ 등의 질문을 반복했다고 들었다. 이게 과연 민주주의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인가. 치욕을 못 견디고 직장을 떠난 이들도 많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MBC 보도국장은 내가 대표이사직에서 내려온 직후 중계차 PD로 자리를 옮겼다. 전례가 없는 일이다. 보도본부장은 단순 자료를 정리하는 업무를 맡았다. 후임 최승호 사장은 2년 남짓 재임하는 동안 19명을 해고했다. 다양한 목소리가 전파를 타게 하는 게 공영방송의 의무다. 최소한 기계적인 중립은 지키자는 이야기다.”

김 당선인이 생각하는 공영방송 정상화란 무엇인가?

“국민의 품으로 공영방송을 돌려주는 거다. 언론 자유 확대를 위해 꼭 필요하다. 공영방송은 국민의 재산이다. 개인 유튜브 채널이 아니란 말이다. 공영방송의 보도가 국민의 절반만 공정하다고 생각되면 문제가 있는 거다. 아울러 공영방송, 공영언론이 줄어드는 게 세계적인 추세다. 국민소득 3만 달러가 넘는 나라에서 우리나라처럼 공영 언론이 많은 나라는 없다.”

- 글 김태욱 월간중앙 기자 kim.taewook@joongang.co.kr / 사진 최영재 기자 choi.yeongjae@joongang.co.kr

202405호 (2024.04.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