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es

영화 <머니볼> - 선수가 아닌 승리를 사다 

메이저리그 가난한 구단 단장의 조직 리엔지니어링 비법…실용주의로 재무장 

기선민 중앙SUNDAY 기자
영화 ‘머니볼(Moneyball)’은 미국 메이저리그판 ‘다윗과 골리앗’ 얘기다. 자본주의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프로 스포츠에서 부자 구단과 가난한 구단의 차이, 즉 빈부 격차는 곧 성적으로 이어진다. 선수 전체 연봉 1억1400만 달러의 부자 야구단과 4000만 달러의 가난한 야구단이 대결한다면 결과는 보나마나다. 그렇다면 가난한 구단은 구단이 문 닫을 때까지 마냥 꼴찌만 해야 할까. ‘꼴찌의 악순환’을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 이야기는 한 남자가 이런 의문을 가지면서 시작된다. 남자의 이름은 빌리 빈(브래드 피트). 그는 부자 구단에 재능있는 선수를 빼앗기는 통에 만날 하위에 머무르고 있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단장이다. 빌리는 변화를 가져와야겠다고 결심한다.



그가 내세운 이론은 이름하여 머니볼. 1977년 빌 제임스가 만든 세이버매트릭스(sabermetrics) 이론이 원조다. 출루율·장타율 등 통계학과 수학을 야구에 적용한다. 감(感) 말고 과학에 의거해 선수를 고르자는 거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선수들을 모아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재기용하자는 거다. ‘스포츠는 과학’이라는 구호도 있지만, 이 영화에서 묘사되는 메이저리그 스카우트 현장은 비(非)과학적 요소가 다분하다. “걔는 안돼. 여자친구가 못생겼어. 그건 자신감이 없단 뜻이지.” 빌리는 맞선다. “진흙 속 진주를 찾읍시다.” 오른팔도 데려온다. 예일대 경제학과를 나온 피터(요나 힐)다. 피터는 조언한다. “선수를 사지 말고, 승리를 사세요.”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16호 (2011.12.1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