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Life

정윤섭의 한의학 칼럼 - 혈압약 먹을까 말까 - 복용보다 스트레스·체중 관리부터 

혈압약은 근본 치료제 못 돼 … 혈관 튼튼하게 만들어야 

정윤섭 미소진 한의원장
드라마 영향인지 고혈압은 욕심이 많은 부유한 노인이 충격을 받으면 생기는 질병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요즘 40대 초반의 장년층도 혈압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고혈압이 질병으로 정의된 건 20세기 중반이다. 1950년대에 시행된 연구에 의해 혈압이 높은 사람이 뇌졸중으로 사망하는 확률이 높은 것을 발견하고, 고혈압을 질병으로 정의했다. 이어 혈압을 낮추는 고혈압 약물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서양 고혈압과 한국 고혈압 환자는 약간 차이가 있다. 서양의 고혈압 환자는 주로 본태성 고혈압이다. 증세도 없으면서 혈압의 변동도 크지 않다. 이와 달리 한국인의 혈압은 수시로 오르락내리락한다. 주로 시간, 몸 상태, 정신의 예민도에 따라서 혈압 변동 폭이 크다.

고혈압이라고 모두 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고혈압이 지속될수록 혈관과 심장의 부담이 커지고 뇌졸중과 심장병의 위험성도 커진다. 이외에도 신장과 콩팥 등 동맥혈관이 분포하는 장기에 해를 끼치게 되는데 눈의 망막혈관이 손상돼서 시력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82호 (2015.04.2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