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Life

[저자와의 대화_'불확실성시대 금융투자' 펴낸 신세철 경제칼럼니스트] “내재가치 모른다면 투자는 금물” 

 

김성희 기자 kim.sunghee@joongang.co.kr / 사진 전민규 기자
무작정 기다리는 투자 삼가야 … “많은 투자정보가 오히려 독”

지난 2009년 1월 3일 비트코인의 첫 블록(Genesis Block)이 생성된 이후, 지금까지 1300여개의 암호화폐가 등장했다. 이들의 시가총액 규모는 2400억 달러에 달한다. 2017년 초 100만 원대였던 비트코인 가격은 12월 현재 2000만원 안팎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을 주축으로 세계적으로 금융시장에 암호화폐 광풍이 몰아쳤다. 그러나 최근 암호화폐 창시자들이 보유한 코인 매각 소식과 각국 정부의 잇단 규제에 가격은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불확실성시대 금융투자]를 펴낸 신세철 경제칼럼리스트는 “가상화폐는 내재가치보다 희소성이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화폐로서의 사용가치를 찾기 어려운 가상화폐의 희소가치는 어느 순간 아주 낮아져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재가치를 파악해 투자하는 게 투자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내재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또 내재가치를 어떻게 파악해 투자해야 하는지를 알리기 위해 책을 집필했다”고 말했다.

시대 변화 따라잡는 투자해야


▎불확실성시대 금융투자 / 저자 : 신세철 / 출판사 : 이패스코리아 / 가격 : 1만8000원
이 책은 모두 5개의 장을 이뤄져 있다. 가장 먼저 금리·주가·환율 등 금융시장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2, 3, 4장은 금리와 주가, 환율이 실물경제와 어떤 상관관계를 이루는지, 또 어떻게 초과수익을 낼 수 있을지를 설명한다. 5장에선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큰 상황에 살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가 지난 20여년 동안 현업에서 쌓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알기 쉽게 적었다. 저자는 증권감독원(현 금융감독원) 조사연구국장, KB자산운용 운용담당본부장 등을 지냈다.

이 책에서 그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내재가치’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내재가치는 기업이 미래에 창출할 현금을 현재가치로 할인한 값을 말한다. 내재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이 거래되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해 주식을 매입하고, 내재가치보다 높은 가격에 주식이 거래되면 그 반대로 투자한다. 사실 투자를 해본 사람이라면 ‘내재가치가 높은 곳에 투자해라’라는 말을 적어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본을 지켜 투자한 사람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이 융·복합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미래를 예측하고 글로벌 흐름의 방향성을 읽지 못하면 투자 수익률 괴리는 더 커진다”며 “이런 때일수록 내재가치를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본질보다 정보를 더 믿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과거에는 투자에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얻기 어려웠지만 지금은 많은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정보에 파묻혀 내재가치를 들여다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어 “당장의 성장 산업이나 유망 기업도 시대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면 삽시간에 사양 산업, 부실 기업이 될 수 있다”며 “우량 주식을 골라 저축하듯 장기 보유하는 투자방식은 오히려 위태로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재가치 파악해 시장가격과 비교·분석해야

그렇다면 내재가치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기업의 주당순이익(EPS)을 주가로 할인한 수익주가비율(EPR)을 보면 된다. 예컨대 신용등급 BBB-인 A 기업의 주당순이익이 1000원이고, 주가가 1만원이라고 가정하자. 이 기업의 수익주가비율은 10%(=1000/1만원)가 된다. 타인자본비용 즉, A기업과 같은 신용평가등급 기업의 자금조달 금리가 8%라면 A기업은 2%포인트 높다. 결국 주가는 그만큼 저평가되어 있는 셈이다. 다시 말해 시장주가인 1만원은 적정주가 1만2500원(=1000/0.08%)에 비해 25% 저평가되어 있다.

내재가치를 알았다면 수익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기대 이상의 초과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또 하나의 조건이 붙는다. 내재가치와 시간가치의 합인 시장가격이다. 지난 1998년 10월 607포인트였던 코스닥 지수는 유동성 확대와 정부의 벤처산업 육성시책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2000년 3월에는 2834포인트까지 오르면서 약 1년 반 동안 4.7배가 급등했다. 그러나 유동성 장세는 기업들의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자 2001년 1월 최고점의 20% 수준 이하로 곤두박질쳤다. 그는 “유동성 장세가 실적 장세로 이어지지 못하면 주가는 이처럼 극명하게 엇갈리고 투자자들의 희비도 엇갈린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 엇갈림 속에서도 내재가치가 높아질 상품을 고른다면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수 있다. 한번 균형을 이탈한 시장은 자동조절 기능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금융시장에서는 어느 한 쪽에서 가격이 크게 움직이면 이를 완화·상쇄하는 반대 거래가 이뤄져 균형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왔다”며 “이럴때 내재가치가 높은 종목은 성공투자의 시금석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금융투자 관련 책을 더 낼 생각이다. 두 번째 책은 이미 집필을 시작했다. 저자는 “고령화 사회 진입을 목전에 앞둔 한국적 상황을 고려할 때 이자소득에 의존해서 살기는 어려워진다”며 “저성장,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시대에는 기본에 충실하고 균형감을 잃지 않은 투자가 필요한 만큼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지침서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1417호 (2018.01.15)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