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주요 선진국의 수소경제 시대 전략은] 2030년까지 수소차·수소충전소 확 늘려 

 

조용탁 기자 ytcho@joongang.co.kr
미국·일본·독일·중국, 정부와 민간 부문 손 잡고 투자 확대 … 차세대 친환경 시장 선점 노려

▎도요타시 에코풀타운의 수소스테이션.
수소경제 시대의 패권을 노리는 경제 강국의 움직임이 부산하다. 미국과 독일, 중국, 일본은 수소 지원 정책을 연달아 내놓으며 차세대 친환경 차량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다양한 수소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를 4만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다. 중국도 ‘수소 굴기’에 나섰다. 중국은 지난 2월 과학기술부·공업정보화부 등 정부부처 지원 아래 중국 국유기업인 국가에너지투자그룹 주도로 17개 기업·기관이 참여한 ‘중국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산업 혁신전략연맹’을 출범시켰다. 수소에너지 역사가 깊은 유럽은 2025~2040년을 아예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시점으로 정했다. 유럽의 자동차 강국 독일이 선두 주자다. 이미 독일에서는 60대 이상의 수소버스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독일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의 5%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수를 해마다 늘리고 있다. 독일은 2023년 전국에서 수소전기차를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를 400여개로 늘리기 위해 올해 약 3250억원의 국비를 수소 에너지 산업에 투자했다.

경계해야 할 중국의 ‘수소굴기’


▎도쿄 미나토구의 이와타니 수소스테이션.
‘중국 수소차가 비상하는 원년’. 중국 정부가 밀고 있는 수소차 홍보 문안이다. 정부와 기업의 합자법인이 속속 등장 중이고, 연구소의 보고서와 언론 보도가 크게 늘었다. 중국 공업 정보화부는 앞서 2016년 10월 ‘수소차 발전규획’을 밝혔다. 2020년까지 5000대, 2030년까지 100만대로 수소차를 늘리고 수소충전소는 2020년 100개, 2030년 1000개까지 확보하는 계획이다. 2월 열린 ‘중국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산업 혁신전략연맹’ 출범식에서 먀오위(苗圩) 공업정보화부 부장은 “수소차 산업 발전과 수소충전소 건설 계획을 제정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수소차 산업 발전을 적극 지원할 것이란 의지를 내비쳤다. 중국의 목표는 세계 최대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구축이다.

이를 위해 중국 국무원은 13차 5개년(2016~2020년) 계획을 발표하며 수소굴기 로드맵을 소개했다. 중국 지방정부에서도 수소차 산업 발전 지원 정책을 내놓고 있다. 상하이시는 지난해 9월 ‘상하이시 수소연료전지차 발전규획’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연료전지 관련 기업을 100개 이상 유치하고,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50개를 건설한다. 2030년 수소차 관련 산업 생산액을 3000억 위안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후베이성 우한도 2018년~2020년 100개 이상 수소차 산업체인 관련 기업을 유치해 수소차 전체 산업 연간 생산액을 100억 위안 이상으로 늘리는 등의 목표를 세웠다. 수소차에 지급하는 보조금도 2020년까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전기차 보조금을 삭감하기로 한 것과 비교된다. 수소차 보조금은 20만 위안(약 3400만원)이다. 여기에 지방정부 지원금이 붙는다. 최대 50만 위안(약 8500만원)에 이를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연말 수소 산업 발전 매뉴얼 북을 만들어 관련 부처에 전달했다. 자료엔 2030년까지의 수소 관련 정책방향을 제시한 ‘수소 기본전략’이 담겨 있다. 주요 내용은 해외 미이용 에너지와 국내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소 공급량을 2030년 30만t, 2050년 1000만t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050년에는 수소발전단가를 kWh당 12엔(약 121원)으로 낮춰 액화천연가스(LNG) 등과 동등한 수준의 원가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에 발맞춰 수소차 보급 확대도 추진한다. 코트라 도쿄무역관에 따르면 일본은 현재 2000대 수준인 수소차 보급을 2020년 4만대(누계), 2025년 20만대, 2030년 80만대로 늘리기로 했다. 같은 기간 수소충전소 역시 현재 100개소에서 160개소, 320개소, 900개소로 확대한다. 이 외에 2030년까지 수소차 버스 1200대, 수소지게차 1만대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3월 20일에는 도요타를 중심으로 11개 기업이 모여 수소충전소 구축 및 정비를 위한 합작법인 JHyM(Japan H2 Mobility)을 설립했다. JHyM은 사업기간을 10년으로 가정, 초기 4년 간 수소충전소 80기 설치를 추진한다. 이 법인에는 도요타 외에 혼다, 닛산, 이데미츠홍산, 이와타니산업, 도쿄가스, JXTG에너지, 일본정책투자은행 등이 참여하고 있다.


▎독일 도마겐 수소 생산 시설.
독일은 국가프로젝트인 ‘CEP(Clean Energy Partnership)’를 진행 중이다. 프로그램을 통해 수소차 충전소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2016년에만 새로 40개소를 건설했고, 2023년이면 모두 400기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특히 지난 2015년에는 수소충전소 민간 출자회사인 H2M(H2Mobility Deutschland)을 설립하면서 민간 주도로 수소시장을 키우고 있다. H2M에는 에어 리퀴드, 린데, 다임러, 쉘, 토탈, OMV 등 대기업 6개가 참여했다. H2M이 건설한 수소충전소와 CEP에서 인수한 수소충전소는 2023년경 일반 사업자에게 운영을 넘길 계획이다. 전국 인프라가 구축되면 해마다 차량 수를 늘려 2030년 독일에서만 수소전기차 80만대를 운영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H2M은 배치전략도 마련했다. 우선 7개 대도시에 최대 10기씩 구축하고 이들 도시를 잇는 고속도로에 90㎞의 이격거리를 둬 구축한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에서 적극 나서


미국은 캘리포니아 주 정부를 중심으로 수소차를 늘리고 있다. 2020년까지 수소차 10만대 보급이 목표다. 대당 13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또한 2020년까지 최소 100개의 충전소 구축하기 위해 수소 공급 인프라 지원을 위한 3300만 달러 보조금 계획을 발표했다. 캘리포니아는 배기가스 제로 정책 등을 통해 2025년까지 무공해차 판매 비율을 전체의 15%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수소차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수소차 구매 혜택도 마련했다. 이 덕에 지난해 전 세계에 판매된 수소차 6364대 중 50%가 캘리포니아에서 판매됐다. 업계 관계자는 “캘리포니아는 현재도 25개소의 수소충전소를 운영 중”이라며 “2020년까지 최소 100개의 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으로 수소차에 대한 전폭적인 정책과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1431호 (2018.04.30)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