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은행, 셈법이 복잡해졌다] 코로나19 여파, 이젠 금융을 점검해야할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은행들이 시험대에 올랐다. 코로나19로 실물 경기가 침체되면서, 이자가 연체되고 원금 회수에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다. 현재의 ‘고요함’은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으로 인한 착시 효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책 효과가 걷히고 난 뒤 더 큰 위기가 다가올 수 있다는 이야기다. 장기적으로는 ‘은행업이 바뀌고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 인터넷전문은행을 비롯한 핀테크 기업들의 도전, 전염병의 위력을 실감한 소비자들의 비대면 서비스 선호 경향에 전통적 영업방식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여신관리 문제가 만성적 위협이라면, 인터넷전문은행의 약진은 은행업 본질을 뒤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비상사태’에 대응하는 정부의 금융 지원 정책도 단기적으로는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기업이나 가계, 은행 등에 도움이 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지원 대상 기업들의 옥석가리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은 딜레마에 빠졌다. 대우조선해양, 아시아나항공 매각 등에서 뜻하지 않게 암초를 만난 데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등 풀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지금이 금융권 현안과 대책을 정밀하게 들여다 보아야할 시기다.

▎사진:© gettyimagesbank
- 이코노미스트 편집부

1541호 (2020.07.06)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