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종.심층취재

Home>월간중앙>특종.심층취재

[2019 중앙일보 대학평가] 중앙일보 대학평가를 ‘평가’한다 

26년간 진화 거듭한 대학 평가 대명사 

기존의 획일적 서열화에 반기, 정확한 대학 선택 잣대 제공
최근 이탈 대학 급증, 대학 특성별로 평가 다양화 숙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최로 지난 7월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20학년도 수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가 열렸다. / 사진:연합뉴스
2013년 방영했던 드라마 [응답하라 1994]는 개인적으로 ‘본방사수’ 했던 몇 안 되는 드라마 중 하나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하여가’로 시작되는 드라마 오프닝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트로트와 발라드 중심의 한국 가요계에 생소한 랩과 댄스를 들고 나타난 서태지와 아이들은 기성 평론가들의 혹평 속에 데뷔했으나 대중은 열광했다. 메탈·록·힙합·국악 등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을 시도하는 한편, 교육·통일·청소년 가출 등 사회 문제를 담은 가사로 반향을 일으켰다. 그가 지금까지도 ‘문화 대통령’이란 별칭으로 불리는 이유다.

중앙일보는 1994년 9월 창간호 특집을 내면서 언론사 최초로 대학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대학의 경쟁력을 교육여건·재정·교수연구·평판도·개선도로 설정해 진행한 평가 결과는 획일적 입시 결과로 줄 세워진 대학 서열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생소한 것이었다. 중앙일보의 시도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국제화 영역, 2015년 학생 교육 노력 및 성과 영역을 신설하는 등 새로운 도전을 이어왔다.

그동안 여러 단체의 대학평가 거부 성명, 타 기관의 대학평가 신설 등 여러 위협 요인이 있다. 그럼에도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26년 역사를 지닌 대학평가의 대명사로 자리 잡는데 성공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급변하는 시대적 가치를 끊임없이 평가에 반영하려고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은 결과로 평가한다.

중앙일보는 1995년부터 평균과 표준편차를 활용한 표준화점수(Z값)에 가중치를 곱한 점수를 합산하는 평정 방법을 도입했다. 그러던 중 Z값 분포에 있어서 극단 값(아웃라이어)으로 인해 지표별 Z값이 왜곡된다는 지적이 나오자 중앙일보는 이를 수용했다. 교수연구 영역에선 인문사회와 이공계 등 간의 지표별 실적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난다는 점을 감안해 계열별로 실적을 반영하는 등 정규화 과정을 매우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급변하는 시대가치 반영, 신뢰도 높여

또 국제저명학술지 등재 논문 실적을 평가할 때 한국과학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이 활용하는 순위보정영향력지수(ornIF, ordinal rank normalized Impact Factor)를 반영하기도 했다. 우수한 연구 성과에는 차별화된 점수를 가산하기 위한 조치다. 한국연구재단은 국가 연구개발(R&D사업)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해당 지수를 만들어낸 바 있다. 2013년에는 연구비 지표에만 적용했던 계열 평균 산출 방식을 논문·피인용 지표로 확대했다. 이어 2015년에는 인문과 사회계열의 연구 특성이 상이한 것을 인정해 인문·사회·자연과학·공학·의학·예체능 6대 학문 계열로 분류하고 교수와 논문 비중을 반영하는 등 평가 신뢰도를 높여왔다.

올해도 큰 변화가 있었다. 국제학술지 논문당 피인용 지표 평가에서 분야별 논문 피인용 지수(CNCI, Category Normalized Citation Impact)를 전격 도입한 것이다. 이러한 덕분에 대학의 정밀한 연구 역량 비교가 가능해졌다.

올해 전국대학평가협의회 연구센터는 전국 대학의 대학평가 실무자를 대상으로 중앙일보 대학평가와 정부가 시행하는 대학 기본역량진단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했다.

평가를 비교(리커트 척도 5.0 기준)하면 평가 방법의 타당도(중앙일보 2.50 > 기본역량 2.37), 평가 목적의 긍정적 영향도(중앙일보 2.28 > 기본역량 2.26), 교육 수요자 기준 정보 유익성(중앙일보 2.29 > 기본역량 2.25)에서 중앙일보가 높게 나왔다. 이에 비해 관심도(중앙일보 3.10 < 기본역량 4.73), 필요도(중앙일보 2.18 < 기본역량 2.38)에서는 기본역량진단이 높게 나왔다. 이런 결과를 보면 대학의 평가 실무자들은 중앙일보 평가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도 대학을 관리·감독하는 교육부의 평가를 도외시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수 사례에 집중된 단일 프리즘 한계

중앙일보 대학평가 대상 학교는 최근 들어 급속히 줄고 있다. 2012년 4년제 일반대 102개가 참여한 정점으로 2019년에는 참여대학이 56개로 줄었다. 약 45%의 학교가 이탈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2015년 교육부의 대학 구조개혁평가(현재 대학 기본역량진단) 이후 가속화되고 있다.

중앙일보 대학평가 결과를 보도하는 기사 역시 상위권 대학의 우수 사례 위주다. 이렇다 보니 종합결과 상위권 대학이 집중 조명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2018년 중앙일보 대학종합평가 결과가 보도된 1·4·5면의 기사(그림과 사진 제외)에서 모두 22개 대학이 39회 언급됐다. 그중 소위 상위권 대학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대학은 지방 국립대 3곳, 지방 사립대 3곳이 전부였다.

대학은 설립 목적과 운영 목표가 각기 다르다. 대학은 크게 교육중심·연구중심·산학협력중심으로 운영된다. 현재와 같이 연구중심대학이 유리한 평가 체제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평가 영역을 대학 운영 특성별로 나눠 다양한 대학 운영 형태를 종합 진단하는 방향으로 평가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교육비 산정에도 OECD 교육지표(OECD Education at a Glance)와 같이 고등교육(Tertiary education) 단계의 교육비를 산학협력단(including R&D activities) 회계의 합산 여부, 비중도 등을 고려해 교육중심·연구중심·산학협력중심 대학으로 차별화해 보자는 것이다.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기존 대학 서열을 거부하고 매년 교육 수요자에게 대학 선택의 새로운 기준을 제공해왔다.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세부적인 측정 방법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섬세해진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단일 프리즘으로 투영해 관찰하는 방식으로는 대학의 다양한 발전 모습을 담아내는 데 한계가 있다. 열을 이탈하는 대학의 간절한 ‘하여가’가 귀를 울린다.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응답을 기다린다.

- 원효식 전국대학평가협의회 연구센터장

201912호 (2019.11.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