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가 세금 중과 때문에 투자기피 대상 물건으로 부각되고 있다.토지시장 거품이 ‘팍팍’ 빠지고 있다. 8·31 부동산 대책 이후 한동안 관망하던 매도자들이 급매물을 쏟아내고 있다. 양도세 중과, 전매제한 강화 등 투기 억제책 시행을 앞둔 데다 최근 은행권의 대출 금리마저 오르자 급히 팔려는 매물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이렇다 할 규제가 없어 외지인의 투자 수요가 많았던 강원도와 경기도 외곽 지역도 마찬가지다. 상당수 지역의 땅값이 대책 이전보다 적게는 5%, 많게는 50% 빠졌다. 하지만 사려는 사람이 없어 매물만 쌓인다. 중개업자들은 “8·31 대책의 후폭풍이 주택시장에 이어 토지시장에서도 휘몰아치고 있다”고 말했다.
쌓이는 매물, 거래는 뚝=토지거래허가구역과 토지투기지역으로 묶인 경기도 평택·화성·파주시 일대엔 요즘 급매물이 눈에 띄게 늘었다. ‘허가구역 내 최장 5년간 전매 제한’(11월 초 시행)과 ‘허가구역 내 외지인 농지 취득 때 거주요건 강화’(6개월→1년, 연내 시행)를 앞두고 서둘러 팔려는 매물들이다. 평택시 김모 공인중개사는 “미군기지 이전, 평화신도시 개발 재료 덕에 8·31 대책 이전만 해도 거의 없었던 급매물이 일주일에 평균 3∼5건씩 접수되고 있다. 하지만 요즘 같은 때 누가 사겠느냐”고 말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