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韓 뉴스페이스 시대의 주역 

 


지난 2020년 5월 30일 오후 3시 22분.

미국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우주선 ‘크루 드래건’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사히 도킹해 ‘첫 민간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정작 사람들의 관심은 우주복과 우주선 내부에 있었다. 영화 [어벤져스] 슈트를 디자인한 호세 페르난데스가 디자인한 덕에 날렵한 슈트가 나왔고, 조종석을 가득 메웠던 버튼은 사라지고 터치스크린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원래 이렇게 만들 수 있는 거였어?” 사람들은 수군거렸다.

솔직했던 ‘관’(管)과 화끈한 ‘민’(民)이 이뤄낸 성과였다. 나사(미 항공우주국)가 폭발 위험과 재정난을 이유로 2011년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을 폐기했고, 국제우주정거장 관련 사업까지 ‘민간기업 중심’으로 넘기겠단다. 상업화가 ‘뉴스페이스 시대’를 여는 키라는 걸 인정한 셈이다. 사모펀드는 스페이스X에 54억 달러를 쐈고, 제프 베이조스는 아마존 주식을 팔아 블루 오리진에 투자했다. 리처드 브랜슨 버진 갤럭틱 회장은 상장을 택했다. 시장은 이들을 믿고 화끈하게 밀어줬다. 이럴 땐 미국이 부럽다.

절망하기엔 이르다. ‘한미 미사일 지침’이 개정돼 민간·상업용 로켓의 고체연료 사용 제한이 풀렸다. 3000억원짜리 인공위성 발사비를 10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게 됐다. 한국 항공우주 기업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한국판 ‘뉴스페이스 시대’를 준비 중인 한국 위성 수출 1호 기업인 쎄트렉아이, 아시아 유일의 우주 지상국 사업자 컨텍, 미국 나사가 손 내민 항공우주 소프트웨어사 한컴인스페이스 등을 만나봤다.

- 김영문 기자 ymk0806@joongang.co.kr

202011호 (2020.10.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