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있다. 내년에는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조차 없는 분위기다. 많은 스타트업이 폐업 절차에 들어갔고 내년에는 그 숫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시장의 유동성이 풍부할 때, 소위 분위기가 좋았던 시절엔 스타트업 대부분이 투자를 쉽게 받았다. 규모도 꽤 컸다. 유동성을 활용해 매출을 올리기 위한 광고비에 비용을 다소 무리하게 지출했고, 수천억원대 기업가치를 평가받아 수백억원대 투자를 유치했다. 누구나 그랬다는 건 아니지만 이런 과정을 밟은 스타트업이 꽤 많았다.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한 어떤 회사는 구조조정에 돌입하고 회사를 매각하기도 했다.이런 사례가 속출하면 시드~시리즈 A에 있는 회사들이 피해를 입기 시작한다. 투자자들은 투자하려는 시장에서 잘나가는 기업의 사례를 참고하는데, 그런 기업이 없다면 시장 가능성에 대한 의심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시장에 잘되는 회사가 없다는 건 시장 자체가 매력 없다는 이야기가 아니냐는 식이다. 사실 허점 많은 주장이지만 스타트업 입장에선 어쩔 도리가 없다. 그렇게 생각하는 투자자가 대부분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이겨내 펀딩까지 잘 마쳐야 한다.그렇다면 어떻게 투자 유치를 끝낼 수 있을까? 결국 모든 시장의 균열은 창업자가 낸다는 것을 잊지 말자. 이를테면 금융권은 전통적인 은행들이 패권을 쥘 것 같지만 시장에 균열을 내고 패러다임을 바꾸는 건 토스 같은 테크핀 스타트업이다. 또 이마트가 늘 커머스의 중심이 될 것 같았지만 쿠팡이 균열을 냈고, 넥슨이 게임업계에서 늘 선두일 것 같았지만 크래프톤이 균열을 냈다. 그렇기 때문에 창업자의 능력과 가능성을 투자자에게 보여줘야 한다. 그래서 창업자를 신뢰하고 베팅하게 만들어야 한다. 논리적으로만 설득해서 우리 사업의 비전에 동의하게 만드는 것은 너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