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2012 세계 경제 - 최대 화약고는 유럽중앙은행 

물가안정 고수해 실물 경제 침체 막기 역부족…브릭스 국가 전망도 밝지 않아  

강남규 중앙일보 기자
크리스틴 라가르드(55)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논란의 방아쇠를 당겼다. 그는 2011년 12월 15일 미국 국무부 연설에서 “세계 경제가 1930년대와 같은 대공황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보수적인 경제학자인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는 “비전문가의 성급한 발언”이라고 촌평했다. 라가르드가 경제학을 공부하지 않은 점을 두고 한 지적이었다. 반면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그의 말대로 될 가능성은 무시할 정도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런데 라가르드가 의도하지 않은 사건이 벌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요즘 월가의 이코노미스트들이 서가의 구석에서 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는 대공황 서적을 다시 꺼내 들고 있다”고 전했다. 월가 이코노미스트들이 새삼 대공황 전체 역사를 섭렵하려는 게 아니다. 미국 자산운용사 GMO의 투자전략가인 에드워드 챈슬러는 기자와 통화에서 “이른바 ‘결정적 시기’가 요즘 월가의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챈슬러가 말한 결정적 시기는 1929~33년이다. 주가 대폭락에서 프랭클린 루스벨트 집권 원년 사이다. 『금융투기의 역사』 지은이기도 한 챈슬러는 “주가 폭락이 곧 대공황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19호 (2012.01.02)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