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

Home>월간중앙>히스토리

[유광종의 한자 이야기 ⑩추성(秋聲)] 초록은 자리를 비키고 적갈색이 산야를 장식하나니 

쇠붙이가 울리는 듯, 꿩이 습기 빠진 수풀을 헤쳐나가는 듯… 서걱거리는 가을바람 소리는 우리에게 내실(內實)을 일깨워 

유광종 출판사 ‘책밭’ 고문

▎가을을 맞아 서울 광화문사거리 교보생명에 새로운 글이 걸렸다. 이 글은 미국 시인 메리 올리버의 산문집 <휘파람 부는 사람>에서 발췌됐다.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말고 자신의 잠재능력을 깨닫고 키워가야 성숙한 삶을 이어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나뭇가지를 스치는 바람도 가을을 알린다. 조금씩 앙상해지는 가지에 바람이 닿으면서 서걱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그런 모습과 소리를 한자로 표현한 게 蕭瑟(소슬)이다. 우리가 흔히 ‘소슬바람’이라고 할 때 쓰는 단어다. 우리는 그런 형용에서 가을이 다가옴, 그 가을의 깊어짐을 느낀다.

蕭(소)라는 글자는 원래 대쑥을 가리켰다. 쑥의 일종이다. 다른 쑥에 비해 뒷면에 자라는 수염이 적어 맑은 모습을 지닌다고 한다. 그래서 이 글자를 ‘쓸쓸함’으로 푼다고 보는 사람도 있으나 분명치는 않다. 아무튼 蕭(소)는 사물의 무성한 기운이 잦아들 무렵의 여러 모습을 가리키는 글자로 일찌감치 등장한다.

다음 글자 瑟(슬)은 거문고나 비파 등 현악기의 뜻이 강하지만, 여기서는 소리에 관한 형용이다. 서걱거리는 소리를 표현한 글자라고 볼 수 있다. 글자 둘을 그대로 이으면 瑟瑟(슬슬), 우리말 ‘쓸쓸하다’의 어원인 셈이다. 그러니 소슬바람이라고 하면 무성한 여름을 보낸 나무의 가지들이 메마른 잎사귀를 달고 있는 상태에서 맞는 바람이다. 그 바람은 대개 초록의 풍성함을 밀어내고 대신 자리를 잡은 가을의 일반 식생으로부터 메마른 소리를 자아낸다.

蕭瑟(소슬)과 비슷하게 쓰는 단어는 蕭索(소삭), 蕭颯(소삽), 소조(蕭條) 등이다. 처음의 蕭索(소삭)은 구조가 소슬과 비슷하다. 뒤의 글자 索(삭 또는 색)이 외롭다거나 홀로 있어 고독하다는 등의 뜻을 지니고는 있지만 蕭瑟(소슬)의 瑟(슬)이라는 글자와 같이 소리에 관한 형용이라고 보인다.

蕭颯(소삽) 역시 그와 같은 맥락이다. 단지 颯(삽)이 바람의 일종이어서, 때로는 풀이나 나무 잎사귀에 내리는 비의 소리를 형용할 때도 있다. 蕭瑟(소슬)이나 蕭颯(소삽) 등에 비해 먼저 문헌에 등장하는 단어가 蕭條(소조)다. 나뭇가지를 뜻하는 條(조)와 어울렸으나, 여기서는 나뭇잎 많이 떨어뜨린 식생의 모습을 표현한 의태(擬態)라고 볼 수 있다.

점차 흩어져 없어지는 상황을 蕭散(소산)으로 적으며, 직접 ‘차갑다’는 글자를 붙여 蕭冷(소랭)이라고 적는 경우도 있다. 아예 글자 두 개를 나열해 蕭蕭(소소)라고 적기도 한다. 蕭寂(소적)이라고 해도 마찬가지다. 쓸쓸함에 조용함까지 얹었으니 이 가을의 분위기와 딱 맞아 떨어지기도 한다.

추위가 닥치니 더위가 자리를 비킨다…. 그 ‘寒來暑往(한래서왕)’이야 계절의 부지런한 갈마듦을 표현하는 자연스러운 말이다. 초록은 자리를 비키고 갈색과 붉은색의 가을 잎사귀들이 산야를 장식한다. 때가 바뀌니 모습도 달라지는 게 옳다.

쓰르라미라고 부르는 매미의 한 종류가 있다. 정식 명칭은 쓰름매미다. 일반 매미보다 몸집이 좀 작다. 이 쓰름매미의 한자 호칭은 寒蟬(한선)이다. 이슬 내리는 가을에 우는 매미라서 아마 ‘춥다’는 뜻의 寒(한)이라는 글자에 매미(蟬)를 갖다 붙인 듯하다.

일반 매미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날씨가 차가워진 무렵 매미의 울음소리는 현저히 줄어든다. 가을의 쌀쌀함이 매미의 울음소리를 줄어들게 만드는 큰 요인이다. 그래서 날씨 차가워진 뒤 울음 멈추는 매미를 통틀어 寒蟬(한선)이라고도 부른다.

길렀던 것을 익히고, 풀었던 것을 거두는 때

사람들은 추위에 소리 멈추는 매미를 그냥 두지 않는다. 대상을 비꼴 때 결국 이 단어를 등장시킨다. 겁을 집어먹고 움츠러드는 사람,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처하지 못하는 이, 제 소신이 부족해 뒤로 물러서는 자를 이 寒蟬(한선)에 비유한다. ‘꿀 먹은 벙어리’와 흡사한 맥락이다.

오늘 글 제목은 가을의 소리, 추성(秋聲)이다. 북송의 문장가인 구양수(歐陽修, 1007~1072)가 가을의 소리를 묘사한 ‘추성부(秋聲賦)’를 짓자 그에 관한 감회를 적은 글들이 적잖게 뒤를 따랐다. 가을 밤, 책을 읽다가 문득 들은 소리를 묘사하는 그의 문필이 날카롭다.

“사물에 닿는구나, 쟁그렁 쟁그렁, 쇠붙이가 모두 울리는 듯. 적진을 향해 다가서는 병사들처럼, 입에는 자갈 문 채 빨리 달리는데, 호령소리는 오간 데 없고, 그저 사람과 말이 달리는 소리뿐(其觸于物也,鏦鏦錚錚, 金鐵皆鳴. 又如赴敵之兵,銜枚疾走,不聞號令,但聞人馬之行聲).”

귀로 들은 가을바람, 나뭇가지와 숲을 스치며 나가는 그 소리를 이렇게 묘사했다. 깊어가는 가을밤의 스산한 정경이 그대로 묻어난다. 구양수의 귀에도 들렸듯이 가을은 금속이 서로 부딪히는 그런 소리에 가깝다. 수선스러움과 뻗침보다는 숙성과 메마름의 정서를 더 일깨우는 계절이기 때문이다.

매일 밤낮으로 걷는 남산 길에도 가을은 벌써 소리로 다가왔다. 우거진 수풀을 헤집고 다니는 꿩이 메마른 소리를 낸다. 한여름 무성했던 잡풀이 고개를 숙이고, 품었던 여름의 습기가 빠져 꿩이 그를 헤치며 지나갈 때 나는 소리다. 굳이 적자면 “서걱서걱”이다.

매미 울음소리도 줄기는 줄었다. 그 녀석이 쓰르라미인지는 모르지만 한여름 내내 우렁찼던 소리가 땅으로 빨려든 듯하다. 가지에 매달려 원숙함을 그렸던 도토리가 바닥에 떨어지는 소리도 밤에 남산 길을 걸을 때 유독 크게 들릴 것이다. 다 가을의 소리 아니고 무엇이랴.

떨어지는 잎사귀 하나에 가을이 왔음을 안다는 성어가 있다. 一葉知秋(일엽지추)다. 당나라 문인의 시에 등장하는 “一葉落知天下秋(낙엽 하나로 이 땅에 가을이 왔음을 알도다)”에 등장하고, 그보다 더 멀리는 <회남자(淮南子)>에 나온다. “見一葉落而知天之將暮(한 잎 지니 해 저무는 것을 알겠다)”다.

작은 조짐으로 닥칠 무엇인가를 미리 알아보는 일이다. 가을은 길렀던 것을 익히고, 풀었던 것을 거두는 때다. 그래서 옷깃을 조용히 여미고 자성(自省)으로써 내 마음과 영혼을 여물도록 하는 시간이다.

나라 안팎의 경제 사정이 더욱 어려워진다.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옳을까. 서걱거리는 가을바람 소리는 우리에게 어느덧 내실(內實)을 일깨우고 있다.

유광종 - <중앙일보> 베이징특파원, 중국연구소 부소장, 논설위원을 지냈다.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한 뒤 홍콩에서 중국 고대 문자학을 연구한 중국 전문가로 <중앙일보> ‘분수대’ 칼럼를 3년여 동안 집필했고, ‘한자로 보는 세상’도 1년 동안 썼다. 저서로 <연암 박지원에게 중국을 답하다> <장강의 뒷물결> <제너럴백-백선엽 평전> <지하철 한자여행 1호선> 등이 있다. 현재 출판사 ‘책밭’ 고문으로 일한다.

201510호 (2015.09.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