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淸論濁論] 가계부채 뇌관은 대출구조 

 

가계부채 논란이 뜨겁다. 한편에서는 올 1분기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이 800조원을 넘어서 가계부채 문제에 경고등이 켜졌다고 우려한다. 반대로 한국은행 김중수 총재는 “위험 수준을 판단하기는 쉽지 않고 예상된 위기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은 총재의 말이 사실이라도 국민은 불안하다. 위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반드시 큰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어떤 문제든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올바른 대응이 가능하다. 일부에서는 지난 수년간의 저금리-고환율 정책이 가계부채를 늘렸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지금 와서 고금리-저환율 기조로 정책을 바꿔도 가계부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물가 관리를 위해 금리인상이 불가피하겠지만 속도를 신중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빠른 금리인상이 가계대출의 연체율 증가를 유발하면 금융회사가 대출회수에 나서면서 연쇄적인 가계부도가 나타날 수 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094호 (2011.07.04)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