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오래된 기술이지만 최근 게임사들이 앞다퉈 도입하면서 업계에서 매일같이 화두로 등장한다. 게임사들은 왜 블록체인에 주목하는 것일까?첫째, 게임의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다. 기존 대다수 게임의 비즈니스 모델인 P2W(Pay to Win)는 유저 입장에서는 말 그대로 ‘소비’의 일환이다. 먼저 게임에 ‘시간’을 소비해야 하고 이기기 위해서는 ‘재화’를 소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 재화는 특정 게임 안에서만 한정적으로 존재한다.하지만 블록체인 기술과 NFT가 접목된 P2E(Play to Earn) 모델은 이러한 소비가 ‘생산성’으로 이어질 수 있게 만들었다. 즉, 게임 속 가상의 재화를 특정 게임 안에서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게다가 이 재화는 다른 유저와 거래·판매하거나 현실의 재화로 현금화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경제활동을 통한 생산성 창출이 가능해진다는 뜻이다.둘째, 수익성 강화다. 최근 들어 메타버스가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사실 개념 자체는 오래됐다. 특히 게임 안에서는 이미 가상 세계가 존재했으며 게임 아이템, 게임 머니 등 디지털 화폐 개념을 도입해왔다. 그렇기에 이러한 가상 세계와 디지털 경제 메커니즘에 대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수익성을 강화하기가 다른 업계보다는 비교적 수월하다고 볼 수 있다.111%도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다. 먼저, ‘더욱 가치 있는 게임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가상 세계, 가상화폐 등 새롭게 재편되는 세계에서 게임의 의미와 역할 역시 변하고 있다. 더욱이 자유시장경제하에서 경제활동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이 이제는 게임에서 소비 이상의 즐거움을 찾으려 하고 있다. 게임사 입장에서는 이러한 ‘즐거움’을 좇는 행위 자체를 더욱 재미있고 가치 있게 만들고 싶다.여기에 새로운 것을 다양하게 시도하는 111%의 DNA 와 ‘빠름’을 근간으로 하는 개발 철학을 바탕으로 속도감 있게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거라는 판단이 더해졌다. 111%는 약 6년 동안 170여 개에 이르는 다양한 캐주얼 장르 게임을 만들어왔다. 이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블록체인과 가장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