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Trend

Home>포브스>News&Trend

엔저 너무 겁낼 것 없다 

환율과 유가가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중국정부는 내수시장 경쟁력 강화에 매진해야 한다. 

DANIEL FISHER 포브스 기자
중국이 소비주도경제로 변신하겠다는 목표를 향해 한창 나아가고 있을 때 찬물을 끼얹은 건 일본이었다. 다시 시작된 불경기와 경기부양을 위한 아베노믹스 정책으로 일본 엔화 가치는 2014년 중국 위안화 대비 15% 하락했다.

물론 다른 아시아 국가도 비슷한 영향을 받았다. 엔화 하락의 충격을 피하려는 아시아 국가에 대한 뉴스가 잇따랐다. 중국은 2014년 6월부터 12월까지 미 달러당 위안화 가치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며 굳건히 버티고 있다(홍콩달러도 미 달러에 고정환율로 연결돼 있어 변동성을 보이지 않았다). 국제유가 급락은 에너지 수입비용 억제로 이어지며 일본이 엔저 정책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줬다.

일본과 중국 사이에 긴장감이 흐르는 건 사실이지만 일본이 중국에 금융 공격을 가하는 정책을 펴고 있지는 않다. 아베 정부는 인구 감소와 (공공) 부채에 허덕이는 경제를 어떻게든 살려보려고 안감힘을 쓰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2014년 11월 말 중국이 기준금리를 내린 것도 일본 정책에 대한 반격이라기보다 경제성장률을 7% 이상으로 유지하고 부동산 거품 및 국유회사 차입금으로 불안한 경제를 떠받치기 위해서였다.

런던경영대학원 경제학자 리처드 포테스는 엔화 하락으로 효율성이 낮은 일부 수출 제조업체는 힘들어졌을지 모르지만 수요를 진작시키고 해당 수출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중국 정부의 개혁 의지는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포테스는 “장난감이나 의류 생산업체가 중국 정부에 압박을 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은 장난감이나 의류 산업에서 벗어나야 한다. 중국의 목표도 바로 그것이다.”

중국은 현재 물가 상승률 2~3%를 넘어선 인플레이션이나 경기둔화 시기에 위험한 디플레이션을 유발하는 환율 곡예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중국 통화당국이 이제 환율 조작을 넘어섰다는 뜻이 아니다. 통화당국은 2010년부터 꾸준히 지속돼 온 위안화 상승을 멈추기 위해 2012년 수개월 간이나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묶어뒀다. 그 덕분에 위안화 투자자산을 손에 넣기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았던 투기꾼의 투기행위가 잠시 멈췄다. 포테스는 “통화당국이 위안화 하락을 일정기간 인위적으로 조작하면서 투자심리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환율이 상승하거나 안정세를 보이면 중국 소비자와 자원 수입업체가 상대적으로 유리해진다. 최근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이들은 그 혜택을 받고 있다. 중국은 하루 600만 배럴을 수입하는 세계 최대 석유 수입국이다. 국제유가 하락을 계기로 전략비축유를 기록적인 수준(2억 배럴 혹은 30일간의 수입량)으로 끌어올렸다. 위안화 기준으로 살펴봤을 때 유가는 2014년 6월 이후 22% 하락했다. 중국내 석유 수요가 둔화되면서 사이노펙, 페트로차이나 같은 정유업체는 가솔린을 비롯한 정유제품을 수출하면서 꽤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환율보다 품질·마케팅 전략이 중요해

소시에테 제네랄의 알버트 에드워드 같은 전문가들은 일본이 엔화를 통제하지 못하면 중국도 위안화를 하락시킬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에드워드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직후처럼 심각한 생산자물가 디플레이션을 3년간 버텨왔다고 밝혔다. 오래 지속된 디플레이션은 중국내 과도한 차입구조와 맞물려 대대적 파장을 일으키고, 결국 정부가 개입할 수밖에 없다는 상황이 됐다.

에드워드는 “중국 정부가 이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통화가치가 하락할 것이다.” 포테스의 입장은 다르다. 그는 환율 인하가 그리 빨리 이뤄지진 않는다고 했다. “환율보다 품질이나 마케팅 전략, 보완책,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결과가 많다. 환율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아니지만, 앞서 말한 요소를 모두 갖췄다면 환율 변동이 크지 않는 이상 원하는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다.”

중국이 소위 ‘중진국의 덫’에서 탈출 하겠다는 목표에 집중하게 되면 엔저 압박은 방해요소 이상의 부담을 주게 될지도 모른다. 전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이자 『불균형: 미국과 중국의 상호의존성(원제: Unbalanced: The Codependency of America and China)』을 저술한 예일대학의 스티브 로치는 연간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2000(약 1200만원)~1만5000달러에 이르면 이후 성장이 정체되는 개도국의 성장 패턴을 피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필사적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성장의 추진력을 이어가기 위해 시진핑은 덩샤오핑처럼 중국 시장을 전 세계에 개방하는 노선을 택했다고 로치는 설명했다. 반부패 캠페인과 결합한 시진핑의 전면개혁 심화영도소조 정책은 기득권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었다(그는 다양한 형태의 시민 반대의견도 묵살하고 있다).

엔화는 하락을 거듭하고 새로운 수출 강국으로 부상하는 베트남, 인도 등과의 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그 가운데 시진핑 정부는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를 굳건히 밀고 나갈 수 있을까? 유가 하락으로 원유수송을 노리는 선박회사에는 별로 좋지 않겠지만 정유사와 항공사,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기타 제조업체에는 도움이 된다. 중국은 러시아에 대한 서유럽의 경제제재를 십분 활용해 장기 천연가스 수입계약을 러시아 루블화가 한창 약세일 때 체결했다. 2014년 11월에는 시베리아 새 가스전에서 300억㎥의 가스를 운송하는 280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했다.

지난 20년간 일본 경제가 걸어온 처절한 길은 중국 지도자들에게 추가적 경제개혁 없인 성장도 없다는 교훈을 분명히 가르쳐줬을 것이라고 로치는 말했다. 중국 최대 수출시장(유럽 포함)의 수요 약세가 환율 문제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일본과 환율 전쟁에 나서는 건 실책이 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포테스는 “한국과 대만은 일본의 환율 정책을 걱정한다. 중국도 걱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는 환율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너무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위 기사의 원문은 http://forbes.com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포브스 코리아 온라인 서비스는 포브스 본사와의 저작권 계약상 해외 기사의 전문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 점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201501호 (2014.12.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