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요즘 리더 요즘 팔로워 

 

요즘 세상은 뭐든지 빠르고 눈 뜨면 세상이 변한다고까지 하는데 그에 맞먹는 속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이 직장 문화다.
인권, 노동권, 성평등의 의식 수준이 빠르게 올라가며 관련 법과 제도가 많이 정비됐다. 대기업에 다니는 친구가 불과 3년 전 일화라며 들려준 얘기다. 주말에 여자친구와 휴가를 보내고 있는데 직장 상사가 ‘다음 주에 중요한 임원 보고를 해야 하니 자료를 준비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저 지금 부산인데요?’라고 하니 상사가 의아해하며 ‘중요한 임원 보고라니까?’라며 지금 회사로 오라고 했단다. 결혼을 앞두고 있던 여자친구는 직장을 택하든 나를 택하든 결정하라며 펑펑 울었지만, 친구는 서울로 돌아와 보고서를 썼다고 한다. 지금은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친구는 그 여자친구와 결혼해 잘 살고 있다.)

직장 내에서 직급이 높은 사람들이 ‘꼰대’라는 단어로 정의되고 기피 대상이자 사회악 같은 존재가 된 것도 지난해 무렵인 듯하다. 직장 내 성희롱 문제 제기를 비롯해 휴가, 회식 문화, 호칭, 직급체계 정비 등 기업문화의 변화는 속도는 체감상 첨단기술의 발전보다 더 빨랐다.

우리 회사에는 26~38세 젊은 구성원들이 모여 있고 수평적이고 자율을 추구하는 조직인데도 세대 차가 존재한다. 처음엔 아는 동생 몇 명과 모여 직급과 직책도 없이 창업했던 터라 인원이 많아질수록 생각의 차이와 이해관계가 복잡해졌다.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공동체는 1. 도움이 필요한 사람 2. 혼자 할 수 있는 사람 3.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으로 나누면 되겠다고 생각했다. 직장의 서열 관점에서 벗어나 직업의 숙련도 관점에서 개개인의 역할과 책임을 단순하게 나누었다. 그러니 새내기들이 선배의 정의를 ‘높은 사람’에서 ‘도움받는 사람’으로 인식하게 되었는지 눈치를 덜 보고 도와달라고 요청하는 것 같았다.


몇 년 전 제주도에서 다양한 커뮤니티를 시도하고 있는 숙소에 들렀다. 매니저에게 ‘사장님은 안 계시냐’고 물었더니 ‘저희가 사고 친 거 수습하고 다니느라 요즘 잘 안 계세요’라고 했다. 그의 답변은 당시 ‘톱다운이냐 or 보텀업이냐’를 두고 한참 고민 중이었던 나의 복잡함을 단순함으로 한순간에 바꿔주었다. 직장은 가장 이상적이고 살아 있는 공동체라고 생각했다. 우리가 사회로 나오기 전에 경험해본 공동체는 학교나 군대인데 어쩌면 직장보다 서열화되어 있는 조직이다. 급이 올라갈수록 눈치 안 봐도 되고 잡일을 안 해도 되어 편했을 거다. 지금까지 직장에도 그런 서열의식이 이어졌는지 모르겠다. 리더일수록 일의 종류도 많고 난도 높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그래서 요즘 직장 문화는 정상적으로 잘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나 때는 이랬으니 너 때도 이래라’는 심각한 악순환 아닌가.

- 이의현 로우로우 대표

202011호 (2020.10.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