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NEW YEAR ESSAY 2024] 다시, 초심(13) 홍성열 마리오아울렛 회장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한 ‘역발상’ 


▎홍성열 마리오아울렛 회장
불가능에 대한 나의 첫 번째 도전은 44년 전 서울 대방동에서 시작됐다. 구로공단의 섬유공장에 취업해 스웨터 짜는 기술을 배우고 영업을 하면서 니트사업을 구상하게 됐고, 어머니가 짜주시던 니트에 대한 향수로 1980년 8월 마리오상사를 창업했다. 200만원으로 편물기 4대를 사들여 직원 4명과 일을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외국 바이어가 주문하는 대로 제품을 생산하는 ‘삯바느질’ 수준에 머물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자체 브랜드 상품을 생산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 하나로 1985년 여성 니트 패션 브랜드 ‘까르뜨니트’를 론칭했다. 국내 업체가 90% 이상 아크릴 소재를 사용하던 시절, 까르뜨니트는 레이온과 코튼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해 제품을 차별화했다. 컴퓨터 자동편집기 5대를 도입했고, 디자인 기획전문회사 ‘에르모’도 세웠으며, 서울 가양동 아파트형 공장에 생산시설도 갖추었다. 일부에선 투자효율성에 갸웃했지만, 기술력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혁신적인 노력으로 까르뜨니트는 국내 유명 백화점 50개에 입점하는 등 국내 니트 시장 점유율을 50%까지 끌어올렸다. 사업 범위도 니트에서 일반섬유까지 확장하고, 고객층도 30~40대 중산층 주부에서 젊은 층까지 넓혔다. 여름에도 입을 수 있는 상품으로 알려지면서 일본의 게이오백화점에 입점했고, 패션 본고장 유럽에서도 까르뜨니트 제품을 수입할 정도로 디자인과 품질을 인정받았다.

불가능에 대한 두 번째 도전은 1997년 서울 구로공단에 패션 아울렛을 세우는 것이었다. 임금과 땅값 상승으로 제조업체들이 동남아 등 해외로 줄줄이 이전하고, 1997년 12월 외환위기를 맞아 폐허로 변해가던 구로공단에 유통시설을 만드는 것은 무모한 일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부지를 매입하고, 도심 아울렛 건설에 착수했다. 유통매장은 사람들이 많은 곳에 지어야 한다는 생각, 해외 유명 아울렛이 대부분 교외에 있는 것과 상반되는 도전이었다.

1시간 이상 차를 타고 나가야 하는 교외보다는 도심 아울렛이 고객들에게 더 편리할 것이며, 아울렛 매장 건설에 필요한 넓은 부지는 기업이 떠나는 구로공단이어서 오히려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역발상’이었다.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제품을 팔아 고객들이 찾도록 하자는 전략이었다. 구로공단은 내가 의류사업의 꿈을 시작했던 곳으로, 의류 제조업의 메카라는 역사성도 이어가고자 했다.

2001년 마리오아울렛을 개장했고, 2004년에는 2관을 오픈했다. 2관에는 ‘공장형아울렛(팩토리아울렛)’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시도했다. 한곳에서 옷을 만들고 파는, 제조와 유통이 결합된 모델이다. 패션회사와 아울렛 매장의 협력경영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고 2012년 마리오아울렛 3관을 오픈해 구로공단이 패션복합 문화공간으로 변모하도록 일조했다. 3관은 국내 최초로 백화점과 쇼핑몰이 결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형 아울렛이다. F&B 매장, 키즈테마파크, 정원, 테마광장 등 문화휴게 공간을 구성해 ‘몰’을 완성했다.

마리오아울렛의 성공에 힘입어 구로공단 수출의다리 일대는 연 매출 1조원이라는 거대 아울렛타운으로 진화했다. 지난 44년간 새로운 발상으로 항상 최초이자 개척자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 처음 시작했을 때의 순수한 의지와 열정으로 거침없이 나가면 불가능해 보이던 곳에도 새로운 길이 열린다. 2024년 갑진년도 그런 초심으로 되돌아가려 한다.

202401호 (2023.12.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