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

Home>월간중앙>히스토리

[특별 역사기획] 세종 즉위 600돌… 다시 돌아본 세종의 리더십 

권력은 소유가 아니라 소통에서 나온다 

박현모 여주대 세종리더십연구소장
율곡 “세종은 인재와 말(지식)을 잘 연결시킨 소통의 군주”…신하의 좋은 아이디어는 맞장구 쳐주고 성과 나올 때까지 지원해줘

세종 즉위 600돌이다. 세종은 어떻게 통치하고 소통했기에 15세기 당시에 정치·과학·민생·국방 분야에서 당대 최고 수준의 성취를 이뤄낼 수 있었을까? 조선을 부국강병하게 만든 세종 리더십의 요체를 살펴보는 것은 지금의 혼란스러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조선왕조 제4대 왕(재위 1418~1450) 세종 시대는 정치와 과학기술이 한껏 꽃을 피운 부국강병의 전성기였다. 세종은 어떻게 정치·과학· 민생· 국방 분야에서 탁월한 성취를 이뤄냈을까?

‘강거목장(綱擧目張)’, 1450년 2월 세종이 훙(薨, 왕의 사망)했을 때 신하들이 내린 세종정치에 대한 최종 평가다. “상 주고 벌 내리는 일을 분명히 하면서 어진 이에게 맡기고 재능 있는 자를 부렸고, 나랏일에 있어서는 반드시 옛것을 스승 삼아 밝은 제도로 정비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물의 벼리(綱)를 들면 그물눈(目)이 저절로 펼쳐졌습니다.”[信賞必罰 任賢使能 事必師古 制度明備 綱擧目張(세종 32년 2월 22일)] 기록이다. 세종의 국가경영은 그물의 벼리를 드니 그물눈이 저절로 펴진 것에 비유되고 있다. 핵심(key link) 부분을 잘 파악해서 당겼더니, 다른 부분이 모두 해결됐다는 의미다.

그물의 벼리와 그물눈의 비유는 사서삼경의 하나인 [서경(書經)]에서 유래해 많은 지식인에게 애용됐다. 예컨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최한기(1803∼1877)는 “사람 쓰는 도리를 모르면 학문에 명달(明達)하다는 게 모두 허명인 것이고, 치민안민(治民安民)을 도모한다는 것도 한갓 말장난에 불과할 뿐”이라면서 강거목장론을 설파했다. 그에 따르면 용인(用人)을 잘하고 못하는 데도 각각 두 종류가 있는데, 조정에서 “단지 그 사람을 잘 쓰는 것은 열등한 것이고, 사람 잘 쓰는 인재를 데려다 놓는 것이 진실로 우수한 것”이며, “어리석은 자를 쓰는 것은 그 잘못이 얕은 것이고, 어리석은 자를 선발하는 자리에 앉히는 것은 그 잘못이 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각 직책마다 사람을 잘 아는 인재를 배치하면 그것이 마치 벼리를 들면 그물눈이 펴지듯 원근이 다 통제될 것”이라는 게 그의 통찰이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803호 (2018.02.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