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

Home>월간중앙>사람과 사람

[특별 인터뷰] 윤영균 초대(初代)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 

“산림 활용한 복지 서비스로 국민 삶의 질 향상” 

대전=김방현 중앙일보 기자 kim.banghyun@joongan.co.kr
‘산림복지국가 건설’ 비전 실행 위해 2016년 출범 … 전국 곳곳에 ‘치유의 숲’ 조성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윤영균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은 36년간 산림업무에사 잔뼈가 굵은 산림 전문가다. 그는 2016년에 초대 진흥원장에 임명돼 산림복지 행정을 이끌고 있다. / 사진:한국산림복지진흥원 제공
'산림복지(Forest Welfare)’라는 용어는 한국에서 생겼다. 2001년 산림청이 ‘산림복지국가 건설’을 선포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퍼졌다. 산림에 복지의 개념을 접목했다는 것은 한국이 산림 분야 선진국이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이후 황폐해진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 그 결과 임목축적(林木蓄積)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넘어섰다. 1973년 임목축적 수준은 7만4000㏊에 불과했다. 2015년에는 12배가 넘는 92만5000㏊로 급속히 증가했다. 임목축적 수준은 ㏊당 산림 규모를 말한다. 임목축적 증가는 자연휴양림 등 산림복지 인프라의 확충으로 이어졌다.

국민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여가 시간이 늘어나면서 산림복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런 산림복지를 전담하는 조직이 있다. 대전시에 있는 산림청 산하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하 산림진흥원)이다. 산림진흥원은 오는 4월 개원 2주년을 맞는다. 3월 14일 윤영균(61) 원장을 만나 산림복지 정책을 들어봤다.

산림복지란 용어가 생소하다.

“쉽게 말해 ‘산림을 통한 인간복지’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산림복지시설을 오래전부터 운영해 오고 있다. 산림복지를 유럽에서는 그린 케어(녹색치유), 일본에서는 산림 테라피 등으로 부른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의 64%를 차지하는 산림의 대부분이 도시 가까이 있어 접근하기 좋다. 하지만 선진국보다 산림복지 인프라(기반시설)가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진흥원은 무슨 일을 하나?

“체계적 산림복지 서비스를 통해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5년 3월 27일 제정된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6년 4월 18일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현재 전국에서 국립산림치유원 등 6개 복지시설(치유의 숲, 숲체원)과 수목장림(국립하늘숲추모원)을 직접 운영 중이다. 올해 상반기에 울산 대운산 치유의숲, 하반기에는 경북 청도숲체원을 각각 개원한다.

내년까지 대전, 2020년까지는 춘천과 나주에 숲체원을 추가 조성한다. 2021년에는 호남고속도로 서대전IC 주변에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를 만들 예정이다. 세종시에서는 행복도시건설청의 위탁을 받아 지난해 9월부터 원수산 파랑새유아숲체험원(연기면 세종리)을 운영 중이다. 올해 안에 전월산, 내년부터는 괴화산에서 유아숲체험원을 추가 운영하게 된다. 정부로부터 복권기금 수익금 중 일부를 받아 국민을 위한 숲 관련 복지사업에 쓰는 역할도 한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일자리 4300개 창출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운영하는 경북 칠곡 국립칠곡숲체원에서 어린이들이 산림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해 즐거워하고 있다. / 사진:한국산림복지진흥원 제공
산림진흥원의 올해 중점 사업은 무엇인가?

“일자리 확대와 산림복지 민간산업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일자리는 올해 1200개 확충으로 시작해 2022년까지 공공·민간·사회적경제 분야 일자리를 43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올해는 공공 분야에서 117명을 채용하고, 기간제와 간접고용 근로자 85명은 처우 개선을 위해 무기계약직 전환을 추진한다. 민간 분야에서는 산림복지전문업 고용 인력을 831명 증원한다. 사회적경제 분야에서는 산림복지시설 인근 산촌지역 일자리를 집중적으로 발굴하겠다.”

산림복지전문가란 직업이 낯설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람들의 여가 시간이 늘어나지만 복잡한 일상생활로 인한 정신적 질환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민이 숲에서 시간을 보내며 치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정부가 2016년 산림복지전문업 제도를 도입했다.

지금까지 ▷숲해설가 9540명 ▷유아숲지도사 2401명 ▷숲길체험지도사 1053명 ▷산림치유지도사 719명 등 5개 분야에서 총 1만3713명의 산림복지전문가가 배출됐다. 이 가운데 숲길체험지도사는 산림 안내뿐만 아니라 숲길이 있는 지역의 역사, 환경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만들어 소개하는 일도 한다.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과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이 있어야 한다.

지난해까지 전국에서 237개 업체(1668명)가 산림복지전문업으로 등록했다. 올해 113개 업체가 추가돼 총 350개 업체(2500명)로 확대될 전망이다. 관련 자격증을 가진 3명 이상이 1000만원의 자본금만 있으면 산림복지전문업 등록을 할 수 있다.”

산림복지시설이 지역 경제에 어떤 도움을 주고 있나?

“시설에 필요한 인력은 해당 지역 주민을 우선 채용한다. 또 주변 업소를 돕기 위해 자체 식당이나 숙박시설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목장림(국립하늘숲추모원) 내 숲속야영장은 지역 주민에게 운영권을 맡겼다.”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바우처)은 무엇인가?

“산림복지 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계층을 위해 2016년부터 바우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 기초생활수급자나 장애·아동수당 수급자에게 연간 1인당 10만원 한도에서 쓸 수 있는 카드가 지급된다. 발급 대상이 지난해 1만5000명에서 올해는 2만5000명으로 늘어난다.”

수목장림(樹木葬林) 사업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나?

“국립하늘숲추모원은 국가가 운영하는 국내 유일의 수목장림이다. 수목장림은 울타리나 비석 등 인공물을 일체 쓰지 않으면서,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는 장례 방식으로 운영된다. 후손들에게 아름다운 자연을 물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 장례식보다 비용이 훨씬 적게 드는 것은 물론 절차도 간단하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수목장은 스위스에서 시작됐다. 우리나라는 2004년 9월 6일 세상을 떠난 김장수 전 고려대 농대 학장의 유골이 고려대 농업연습림(양평군 양동면)의 50년생 참나무 밑에 안장된 게 처음이다. 윤 원장은 “매년 500기 정도가 분양되는 하늘숲추모원은 4~5년 후면 포화상태에 이른다”며 “하지만 수목장림이 혐오시설이 아닌데도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어 제2 부지를 선정하는 데 애로가 많다”고 했다. 충남 서천·보령 등지에 수목장을 조성하려다 주민 반대로 무산되기도 했다.

※ 윤영균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은… 우리나라 산림복지 행정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북 청송군에서 태어난 그는 고려대 임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산림자원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술고시 17회에 합격해 1982년 6월 산림청 공무원이 됐다. 산림청에서 산림경영과장·국립수목원장·산림정책국장·산림자원국장·국립산림과학원장 등을 지냈다. 2016년 7월부터 초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임기 3년)을 맡고 있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기획재정부로부터 지정받은 공공기관으로서 지난해까지 ‘기타공공기관’이었다가 올해 ‘준정부기관’으로 지위가 한 단계 격상됐다.

201804호 (2018.03.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